그린뉴딜을 위한 기후금융의 움직임은 어떨까. 

지난 1일, ‘제1회 지니포럼(GENIE Forum)’의 부대행사로 열린 기후변화센터의 ‘그린뉴딜을 위한 기후대응과 지속가능한 기후금융’에는 이 같은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지니포럼은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전라북도가 함께 개최한 포럼이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기조연설자로 스탠포드대 마크 제이콥슨 교수가 나서 “전 세계 143개국을 대상으로 각 국가가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할 경우 일자리와 비용을 조사했는데, 한국의 경우 140만개 일자리가 생겨나고 에너지 전환비용은 1조9000억달러(2257조원)가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미국은 8조달러가 들고, 중국은 16.6조달러가 드는데, 미국의 경우 이번 코로나 대응에 2조달러를 사용했기 때문에 전 세계의 재앙을 막는 기후대응이 4분의 1 비용이면 투자해볼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특히 이 자리에는 글로벌 지속가능투자의 현황과 국민연금의 현황을 엿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임팩트온은 국민연금연구원의 최영민 실장의 ‘글로벌 환경투자 동향과 시사점’ 발제를 지상중계해, 지속가능투자를 둘러싼 흐름을 짚어본다. 


국민연금, 사회책임투자는 확대 중

 

책임투자라는 용어는 과거부터 다양하게 변경돼 왔다. 사회책임투자, 책임투자, 지속가능투자 등 같은 이야기 같지만 조금씩 다르다. 사회책임투자는 윤리경영이 필요하다는 과거의 개념이고, 이것이 진화하면서 ESG를 고려하는 게 책임투자, 최근 가장 큰 범주로 확대된 것이 지속가능투자다.

2005년 코피아난 유엔 사무총장의 주도하에 시작된 유엔 PRI(R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가 시작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장기적 책임투자가 환경과 사회 전체에 이익이 된다는 믿음 하에 시작됐다. 이미 2000개 이상 기관이 참여했고(2018년 기준), 관리자산이 80조달러(9만5000조원) 이상에 이르고 있다. 특히 중요 ESG 문제를 신탁의무에 통합하라는 각국의 규제(스튜어드십 코드의 성장)에 대응하여 투자관리자가 빠르게 서명에 동참했다. 스튜어드십은 국가기관, 공공기관에서 시작했지만 지금은 투자관리자 단위까지 내려왔다.

2015년 파리 COP협약(기후변화회의)에서 17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를 채택하면서, ‘지속가능성’이란 것을 명확하게 정의했다. ‘미래세대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인류번영과 환경보호를 보장하는 것’이 지속가능성이라고 정의했다. 이후 ‘ESG가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서 ‘투자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로 좀더 상위의 범주로 올라서기 시작했다.

GSIA(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Alliance)라는 글로벌 지속가능투자의 규모를 조사하는 기관의 자료가 있는데, 여기는 2년 단위로 보고되기 때문에 현재 2018년 자료가 최신자료다. 글로벌 SRI 투자 규모는 약 30.6조달러로, 2016년의 22.8조달러에 비해 약 34% 정도 성장한 것으로 추정한다.

 

글로벌 지속가능투자 규모/국민연금연구원 최영민실장 발제자료
글로벌 지속가능투자 규모/국민연금연구원 최영민실장 발제자료

 

특히 조사대상 국가 가운데 일본의 투자규모 증가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359.9%라고 엄청난 규모의 증가다. 이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다. 일본-아베노믹스 도입하면서 전 세계 전면에 이슈로 들고 온 게 ESG였고, 그 영향으로 지속가능투자가 대폭 확대된 면이 있다. 과거 지속가능투자 카테고리가 아니었던 게 새롭게 일본에서 ESG로 편입시킨 면도 있다. 그럼에도 엄청난 증가는 명확한 사실이다. 

European SRI Study(2018)는 유럽 12개국의 지속가능 투자현황을 조사해 발표하는데, 유럽 역시 가장 큰 규모의 SRI를 하고 있다. 2017년 기준 유럽 11개국의 지속가능투자 규모는 약 22조300유로(3955조원) 수준으로 추정되고, 조사 대상국 가운데 SRI 투자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는 영국이다. 전체 SRI에서 32.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튜어드십을 영국에서 최초로 수립을 했고, 가장 선두주자격으로 SRI를 하고 있다.

환경 분야에 좀더 집중해서 보면, 유럽은 ESG 중 특히 기후 및 환경 분야에 크게 집중하고 있다. 파리협정을 이행하는데 있어, 탄소배출량 감축 등 가장 주도적인 행동을 진행한다. 특히 EU 차원에서 ‘그린(Green)’의 정의에 대한 규정 초안을 명확히 제정했다. 그럼으로써 기후친화적 프로젝트나 녹색금융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정의해주기 때문에, 이에 파급돼서 기후금융, 그린채권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기후변화(18%), 물관리(17%), 재생가능에너지(12%) 등에 중점을 둔 지속가능테마에 집중돼 있다. 투자와 배제라는 투 트랙으로 접근하고 있다.

미국도 2012년 이후에 지속가능투자에 대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USSIF(2018)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내 지속가능투자규모는 2018년 초 12조달러(1만4200조원)로, 2016년 초(8.7조달러) 대비 약 38% 증가했다. 미국의 경우 특정 ESG 분야 중 가장 많은 대상 분야는 기후변화로, 2016년에서 2018년까지 약 2배 이상 증가한 3조달러(3500조원) 수준이다. 기관투자자의 경우 기후변화 및 탄소 관련 분야에 가장 많은 비중을 할애하고 있다. 또한 주주제안 건수에서도 환경 측면 및 기후변화 이슈가 3위를 차지한다.

해외 주요 연기금들은 환경 이슈를 어느 정도까지 사용하고 있는지 보자. 캐나다 CPPIB는 이미2008년도부터 기후변화에 중점을 둔 지속가능투자를 개시했다. 2019년의 경우 ‘기후변화 프로그램’이라는 토털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기후변화위원회(Climate change steering committee)’는 최상위 위원회로, 투자의 방향성과 전략을 정한다. 기후변화 운영위원회(Climate change management committee)는 월간 회의를 통해 투자부서 전체에 기후변화 위험을 통합 감독한다. CPPIB는 기후변화 관련 공시개선에 참여하는 등 매우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일본의 GPIF는 세계 1위 규모의 연기금인데, 2018년 ESG투자규모가 2016년의 4.6배인 2조달러(2370조원)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5년 유엔 PRI에 가입해 ESG 이니셔티브를 확대중이다. 2018년 S&P/ JPX 탄소효율지수(Carbon Efficient Index)를 국내 주식 벤치마크로, S&P 글로벌EX-Japan LargeMid Carbon Efficient Index를 해외 주식 벤치마크로 선정해, 1조2000억엔(13조4000억원)의 투자를 시작했다. 2018년 클라이밋액션(Climate Action)100+에 참여해, 기관투자자 주도의 글로벌 이니셔티브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그 외에도 2020년 6월 노르웨이 지방금융공사의 환경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조달자금, 즉 녹색채권에 직접 투자하기도 하고, 5월에는 네덜란드 수도 정비 금융공사(NWB Bank)의 환경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녹색채권에도 투자했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인 GPFG는 아이러니하게도 기금의 조성이 석유사업 수익으로 운용된다. 2008년부터 기후변화와 물 관리에 대한 중점 관리를 선언했다. 흥미로운 점은 환경투자임에도 2019년 수익률이 35.8%에 달한다. 2010년 창립 이래 수익률이 7.3%다.

네덜란드 ABP의 경우, 2015년 대비 2025년 자신들이 투자하는 주식 포트폴리오에서 이산화탄소를 40% 감축하겠다는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탄광 및 석유계열 투자를 단계적으로 줄이고 있으며, 기업을 평가할 때 기후 측면의 평가기준을 추가한다. 녹색채권에 150억유로(21조원)를 투자하며, 클라이밋액션 100+에도 참여한다.

기후금융 동향을 보면, 최근 5000억달러(약600조원) 규모로 기후금융의 규모가 급증하고 있다. 그럼에도 1.5도 시나리오에 도달하기 위한 자금이 부족한 상태다. 기후금융은 세계적으로 합의된 기후위험을 얼마나 이해하고 이행할 것인지의 이슈가 있다. 대표적인 반대사례가 미국 트럼프 정부다. 미국의 경우 트럼프 정부가 2017년 6월 기후협정 탈퇴를 선언했고, 오는 11월 대통령 선거 직후 탈퇴를 완료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국가별 탈퇴에 대한 인센티브도 있기 때문에, 두고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동향을 보면, 한국거래소에서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를 지난 6월 개설했다. 대략 67조원 규모의 사회책임투자채권이 형성돼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녹색채권에 대한 가이드라인 실무작업반을 구성해 운영중이다. 환경부에서는 ‘그린뉴딜’ 사업을 위한 녹색산업 생태계 구축에 2.9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그외 ‘녹색융합클러스터 지정 및 육성에 관한 법’ 제정을 추진할 계획이고, 녹색신산업 투자를 위해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민관합동펀드를 2150억원 규모를 조성한다.

국민연금의 경우 국민연금법(2015년 1월)과 기금운용지침(2016년 4월)에 마련돼있다. 책임투자 관련 전담부서인 책임투자팀이 2013년 3월 설치됐고, 2019년 1월에는 수탁자책임실로 확대됐다. 국민연금의 ESG 평가체계는 지속가능성, 재무성과 연계성을 고려한 ESG 이슈를 선정하고, 환경(3), 사회(5), 지배구조(5) 등의 체계를 갖추고 있다. 기후변화의 경우 1)온실가스관리시스템, 2)탄소배출량, 3)에너지소비량을 본다. 청정생산의 경우 1)청정생산관리시스템, 2)용수·화학물질 사용량, 3)대기오염·폐기물 배출량을 본다. 친환경제품 개발의 경우 1)친환경제품 개발활동, 2)친환경 특허, 3)친환경 인증, 4)제품환경성 개선을 본다. 

환경 및 사회는 산업별 각 이슈의 노출값을 산출한 후 산업에서 노출값이 평균 이하면 제외한다. 산업별로 이슈 개수에 따른 ESG 가중치를 결정한 후 개별기업별 평가점수, 평가등급을 선정한다. ESG시스템 구축 기업별 ESG 등급, 점수, 추이, 피어(peer) 분석 정보를 운용역과 공유하고 의사결정을 통합 지원한다. 아직까지는 시범적으로 진행했다.

책임투자 활성화 방안 수립되었는데, ESG 등 비재무적 요소를 감안한 책임투자 활성화로 투자위험을 최소화하고, 장기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 앞으로 책임투자 대상 자산군을 확대할 계획이다. ESG 통합전략, 기업과의 대화 영역확대, 해외주식 적극적 주주 활동 등도 계획중이다. 위탁운용사 선정을 통해, 평가체계에 책임투자요소를 포함, 가점을 부여하는 체계로 개선한다. ESG 정보 공시 활성화를 유도하며, 책임투자 관련 글로벌 네트워크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기후금융에 대한 향후 방향성이다. 정부, 감독기관, 민간 투자자가 지속가능개발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공통된 프레임워크의 정비가 필요하다. 아직은 모호하다.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감축목표가 명확하지 않아, 합의가 빨리 이뤄져야 한다.

민간투자자는 비즈니스 모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투자를 단순히 환경보호의 측면에서 접근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환경투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인센티브가 있어야 하는 게 명확하다. 기관투자자한테 환경보호를 강제할 수가 없다. 비즈니스모델 측면에서 35% 이상의 수입이 발생하는 모델이 가능한지 고민이 필요하다. 

공공투자자의 경우 기후개선을 위한 선도적 역할 수행해야 한다. 그린투자만이 가질 수 있는 속성을 반영한 위험관리, 자산평가, 자산배분의 재편이 필요하다.

자본시장, 은행은 녹색금융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녹색인프라에 투자, 대출하는 게 플러스, 녹색전환을 저해하는 생태계 악화하는 분야에 대출을 억제하는 등 투자와 배제가 투트랙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