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농무부, ‘토양 내 탄소 측정 기술’ 개발 위해 기업에 손 내밀어

미 농무부가 IRA의 자금을 농업 부문의 탄소 기술 개발 및 보급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USDA
미 농무부가 IRA의 자금을 농업 부문의 탄소 기술 개발 및 보급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USDA

미 농무부(USDA)가 스마트 농업 부문에 이번 달부터 약 15억 달러(약 2조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해 민간에 자금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을 통해 마련된 기금으로 미 농무부는 농업 부문의 탄소 격리 기술을 도입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달 발표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제6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농업 부문의 탄소 격리 효과가 전 세계 풍력발전을 통한 탄소 감축량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미 농무부는 대출 이외에도 농업의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약 8억5000만달러(약 1조원)를 투입했다. 게다가 IRA에서 탄소 격리 및 온실가스(GHG) 측정에 추가로 3억달러(약 4000억원)가 더해지면서, 그린비즈는 미국 농업 부문의 기업에서 탄소 배출 문제를 해결할 기회가 찾아왔다고 분석했다. 

 

미 농무부, '토양 내 탄소 측정 기술' 개발ㆍ도입에 집중

그린비즈는 미국 농업 부문의 기업이 토양유기탄소(soil organic carbon) 측정, 모델링을 지원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토양유기탄소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동식물의 잔해가 부패하며 토양에 축적된 탄소를 말한다. 미국과 유럽에선 이처럼 토양의 탄소저장능력을 농업 부문에 활용하는 방안을 개발하는 탄소농업(Carbon Farming)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한편 토양 안에 저장된 탄소량의 추이를 정량화하고, 이를 추적 감시하는 방안은 어려움이 많다고 그린비즈는 분석했다. 토양은 성질이 실시간으로 변하고, 지역마다 균일성이 떨어지는 데다가 아직까지 조사에 드는 비용도 큰 탓이다.

그린비즈는 농업 부문의 기업들이 농무부와 협력해 토양의 탄소 분포도를 조사하고 모니터링을 주도하면 불확실성을 줄여나갈 수 있다고 조언했다. 향후 기업과 정부가 협력해 국가 차원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면 탄소 측정 기술 개발에도 기여하는 동시에 기업은 ESG 투자 측면에서도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탄소 측정 기술 활용도 높아… '정부ㆍNGOㆍ민간' 협력 가능성도

토양의 탄소 측정 기술은 기후 솔루션의 과정 중 일부로, 핵심은 농업 현장에 도입하는 데에 있다고 그린비즈는 보도했다. 정밀한 탄소 측정 기술이 개발돼도 비용 문제 등으로 실제 농업 종사자들이 현장에 도입하지 못하면 기후솔루션으로서 효과를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농장 경영에는 사회·경제·문화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농업 종사자들이 단기 수익과 지속가능성 간에 균형이 필요하다고 그린비즈는 분석했다.

향후 기후 부문의 투자 효과를 높이려면 농업 부문의 기업과 탄소순환연구소(CCI) 등 비정부 기관이 협력해 토양 탄소 저장량을 높여 농업 부문 외에도 활용이 가능한 공통의 이익을 추구하는 방안도 있다고 그린비즈는 밝혔다.

한편, 농업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은 지역별로 탄소 측정 모델을 최신화하는 한편, 농업 현장에선 IRA의 지원금을 활용해 기술을 도입할 기회를 잡아야 한다며 현재 농업 부문이 중요한 모멘텀을 맞이했다고 그린비즈는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