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의 최신 연구에 의하면, 157개 글로벌 기업과 공급업체가 전 세계 산업 온실가스 배출량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에디가 2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보고서의 목적은 다국적 기업이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 보고서에서 CDP가 분석한 다국적 기업들 중 40%만이 2050년까지 넷제로를 약속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들 기업의 20%만이 장기적인 기후 전략을 실행하고 있으며 단기적 배출량 감축 목표를 실행하는 기업은 5% 이하로 나타났다.
분석 대상인 157개 기업은 산업 배출량의 10%를 차지하지만 공급망과 스코프3 배출량을 고려하면 60%로 늘어난다. 보고서는 “다국적 기업이 공급망의 수백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고 배출량을 빠르게 줄이는 녹색 기술 이전을 장려하거나 지속 가능성 표준을 부과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많은 다국적기업은 변화에 저항, 방해 또는 로비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녹색 부문에 대한 외국의 직접 투자가 2003년 이후 700%나 증가했으나, 오염 부문에 대한 투자는 80% 감소했다고 지적한다. 이어 보고서는 다국적기업의 지속 가능한 행동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국가 및 글로벌 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보고서는 배출량을 모니터링(Patrolling), 법률과 규정(Prescription), 세금(Penalties), 인센티브와 재정 지원(Payments), 기업 약속과 정보(Persuasion)에 초점을 맞춘 5P 프로그램을 제안했다.
모니터링(Patrolling)이 없으면 정책 입안자는 어떤 회사가 탄소 배출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지 모른다. 또한 다국적 기업은 2차, 3차 협력업체를 모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급망 전체에서 탈탄소화를 장려할 수 있는 잠재력이 제한될 수 있다.
지난해 OECD 연구에 의하면, 법률과 규정(Prescription)과 관련해서 기후 목표를 강화하는 규정과 표준을 채택하면 저탄소 기술, 서비스 및 인프라에 대한 외국인 투자를 위한 경쟁의 장을 평준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금(Penalties)은 가격을 활용하여 화석 연료 및 기타 환경에 해로운 활동을 억제하는 동시에 더 깨끗하고 효율적인에너지원에 대한 혁신과 투자를 촉진한다.
인센티브와 재정 지원(Payments)는 정책 입안자들이 특정 행동을 장려하기 위해 기업에 대한 직접 지불할 수도 있다. 정부가 나쁜 활동에 더 많은 비용이 들도록 기업에 대한 가격 신호를 전환하는 방식으로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활동의 비용을 낮추기 위해 지불할 수 있다.
끝으로, 기업 약속과 정보(Persuasion)은 다국적기업의 행동을 형성하는 마지막 접근법이다. 기업 약속과 정보를 통해 설득하는 방식은 정치적 지원이 없거나 그런 도구가 문제에 적합하지 않을 때 쓰인다.
분석에 참여했던 CDP의 최고 임팩트 책임자 니콜렛 바틀렛(Nicolette Bartlett)은 “글로벌 산업 배출량은 소수의 대기업과 공급망이 주도하고 있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당근과 채찍이 모두 필요하다. 예를 들어, 청정 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 위한 인센티브와 함께 더 강력한 기준과 환경세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세계은행의 ‘진화 로드맵’ 승인 임박…미국 정부 ‘개혁 강도 높여야’ 압박
- COP에 불신 가진 전 세계 설득 나선 UAE
- 세계은행 역할 바뀌나, 기후위기 해결 위한 자금 조달 협상에 돌입
- 세계은행, 탄소배출권 시장 관리용 추적 시스템 선봬
- 세계은행의 승부수, 탄소배출량 분석에 블록체인 기술 도입
- 기후 이슈로 중도하차...세계은행 신임총재, 개발과 기후 두 마리 토끼 잡을까?
- 고난도 온실가스 감축산업 투자펀드...저스트클라이밋, 창립기금 15억달러 모금
- PwC, ‘아시아 기업 스코프3 측정·공시 미흡해’
- IMF와 세계은행, 2개월마다 기후 정기회의 공식화, 힘 합친다
- 개발도상국, 그린빌딩 개조보다 신축에 투자...1조5000억 달러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