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자금 유치 위해 “정보 의무 공개해라”
일본경제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일본 기업들에게 ESG 경영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 공개를 의무화할 방침이다. 3경원이 넘는 글로벌 ‘녹색투자자금’을 끌어들여 탈탄소 사회를 구축한다는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각 기업의 ESG 대응과 진행상황을 구체적으로 투자자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공시 제도를 마련할 예정이다. ESG 정보 공시를 의무화한 영국의 사례과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를 위한 태스크포스(TCFD) 기준을 참고할 계획이다. 이 제도는 내년 여름 확정될 국가 성장전략 중 하나다. 기업이 ESG를 고려한 조직을 운영함으로써 얻는 경제적 효과를 측정하는 지표도 만들 계획이다. 가칭 녹색 국내총생산(GDP)이다. 지난 9월에는 일본 최대 경제단체인 게이단렌과 환경보전에 적극적인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는 'ESG금융'에 대해서도 합의했다.
일본은 탄소중립 선언을 경제성장의 계기로 삼기 위해 이 같은 정책을 마련했다. 석탄 대신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관련 기술 개발로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만들겠다는 의지다. 이를 위해 필요한 재원을 녹색투자자금으로 충당할 계획이다. 기업들이 투명하게 ESG 경영상황을 공시하면 글로벌 투자자금이 몰려들어 탈석탄 관련 기술개발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홍콩 내 금융기관과 상장기업 'TCFD' 의무 공개해야
홍콩 금융 규제당국은 2025년까지 홍콩 내 금융기관과 상장기업들이 TCFD 기준에 맞춰 정보 공개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증권선물위원회(SFC)와 홍콩 금융당국 및 정부 부처는 홍콩이 지속가능한 금융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목표에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전 세계 투자자들은 기업들이 기후 변화 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공개하지 않아 정보의 품질이 떨어지고, 비교가 불가능해 투자 결정을 내리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하고 있다. 이에 홍콩의 시장 규제 기관인 증권선물위원회(SFC) 애슐리 앨더(Ashley Alder)는 “투자자들이 (ESG 정보를 가지고) 기업의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은 내년 유럽연합과 중국이 공동 개발 중인 녹색 금융 분류법을 채택하여 기업들이 기후위기에 잘 대응하고 있는지 평가해 나갈 예정이다. 또 회계기준기구인 IFRS가 개발 중인 ESG 정보 공개 표준 개발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영국, 단일 기준으로 TCFD 채택... 2025년 의무화
- 뉴질랜드, 세계 최초로 금융 부문 기후 공시 의무화한다
- 중국인민은행, "녹색금융 기준 개선하고 정보공개 의무화하겠다"
- 아시아의 ESG투자를 보는 눈
- 【Trend Insight】 TCFD 의장인 블룸버그가 바이든 대통령 후보에게 요구한 것은?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G에만 신경썼던 한국, 시야를 넓혀라 (中)
- 英, 연기금부터 TCFD 의무화 시작한다
- TCFD, 세계 공통 기준으로 우뚝... G20 정상회담서 발표될 듯
-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 IFRS재단의 ESG공시 국제표준작업 참여키로
- 홍콩증권거래소, 2024년부터 상장사의 기후 공시 의무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