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세계 지도자들과 주요 경제학자들이 기후변화로 인한 ‘손실과 피해 기금(Loss and Damage Fund)’에 부유한 산유국들도 재원을 출연해야 한다고 밝혔다.
28일(현지시각)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고든 브라운(Gordon Brown) 전 영국 총리가 이끄는 70명의 국제 인사들이 제28차 UN기후변화회의(COP28)를 앞두고 산유국이 세계 최빈국과 기후 재난 지역을 위해 250억달러(약 32조3300억원)의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는 서한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서명에는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 헬렌 클라크(Helen Clark) 전 뉴질랜드 총리, 조이스 반다(Joyce Banda) 전 말라위 대통령, 미첼 바첼레트(Michelle Bachelet) 전 칠레 대통령을 비롯해 주요 경제학자들 다수가 참여했다.
국제 저명인사 70명, 손실과 피해 기금에 산유국도 돈 보태라
30일(현지시각) 두바이에서 개최될 COP28을 앞두고 ‘손실과 피해’ 기금 마련을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손실과 피해 기금은 합의된 기후 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개발도상국의 손실과 피해 보상을 위한 기금으로 지난해 COP27에서 합의된 바 있다. 이번 COP28에서는 구체적인 기금 마련 및 운용 방안 등을 논의하게 된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손실과 피해 기금에 상당한 재정적 기여를 하겠다고 밝히며, 중국도 이에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미국은 손실과 피해 기금이 개발도상국을 위한 다른 지원금과 중복 사용되면 안 된다며 효율적이고 전문적으로 운용되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손실과 피해 기금 합의안은 30년이 넘는 논쟁 끝에 나온 ‘역사적 합의’라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아직 어느 국가가 얼마나 돈을 낼 것인가에 대해서는 정해진 바가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직 세계 지도자 25여명을 포함한 국제 저명인사 70명이 산유국에 자금 출연을 요구하는 서한에 서명한 것이다.
이번 서명을 주도한 브라운 전 영국 총리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COP28이 성공하려면 현재 기후 금융이 처해있는 교착 상태를 깨뜨려야 한다”, “지난 2년간 산유국들이 벌어들인 막대한 수익에 대한 250억달러(약 32조3300억원)의 부담금은 기후 위기로 피해를 입은 가난한 국가들을 위한 ‘손실과 피해 기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서한은 국제에너지기구 자료를 인용, 코로나 이전 연간 1조5000억달러(약 1939조원)였던 석유 수입이 2022년에는 4조달러(약 5172조원)로 급증했다며, 이는 전 세계 원조예산의 20배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브라운 전 총리는 산유국에 제안된 분담금 액수는 석유 및 가스 생산으로 벌어들인 수익의 약 3%에 해당된다고 밝혔다.
해당 서한은 아랍에미리트(UAE)의 아부다비 석유공사(Adnoc) CEO이자 이번 COP28 의장인 술탄 알 자베르(Sultan Al Jaber)와 현 G20 의장인 브라질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Luiz Inácio Lula da Silv) 대통령에게 발송됐다.
COP28 의장, COP28 정상회담서 비즈니스적 로비 의혹
산유국에 대한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COP28 의장 술탄 알 자베르가 COP28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려 했다는 내부 폭로가 나왔다.
27일(현지시각) BBC는 술탄 알 자베르 의장이 COP28 정상회담을 이용해 15개국과 화석연료 거래를 위한 로비를 벌일 계획이었다고 보도했다. BBC가 익명을 조건으로 확보한 내부 문건은 COP28 의장단이 작성한 것이며, 최소 27개국 정상들과 회담 시 논의할 주제들이 정리돼 있다.
문건에는 중국을 상대로 하는 천연가스 프로젝트 공동 추진 제안, 콜롬비아를 상대로 하는 화석연료 개발 지원책 등 화석연료 관련 로비는 물론, 자국의 국영 재생에너지 기업 마스다르(Masdar)의 비즈니스 기회 확보를 위한 내용도 포함돼 있다.
술탄 알 자베르 의장은 COP28 의장직을 수락하고도 아부다비 석유공사 CEO 자리에서 물러나지 않아 여러 번 이해충돌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COP28 의장단 대변인은 “BBC가 보도한 문건은 부정확하며 COP28을 위한 정상회담에서 사용된 적이 없다”며 “BBC가 확인되지 않은 문건을 보도한 것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상회담 중 사업적 이해관계가 논의되었다는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린피스의 정책 조정관 카이사 코소넨(Kaisa Kosonen)는 “기후 정상회담 지도자는 기후 위기를 부추기는 밀실 거래가 아니라 기후 해결책을 공평하게 진전시키는데 집중해야 한다”, “만일 이 의혹이 사실이라면 이것은 전적으로 용납될 수 없다”고 경고했다.
- COP28 앞두고 글로벌 에너지기구들 동상이몽… 기업 입장은?
- 브라질, COP28에서 대규모 산림 기금 제안한다
- COP28 의장국 UAE 석유공사 6년 배출량, 포집에는 343년 걸려
- EU, COP28 손실과 피해 기금에 '상당한' 기여 약속해
- 세계은행, 개발도상국 위한 ‘손실 및 피해 금융’ 4년간 운용하기로 합의
- COP28 앞두고 화석연료업계에 대한 압박 거세져... 신용 등급 강등 경고도
- COP28의장의 메이저 정유사, 10년간 매달 10억불 화석연료에 지출
- 미국이 COP28에서 주장할 기후 기금 운용 방식은?..."선택과 집중"
- COP28 관전 포인트, 주요 참석자는 누구?
- COP28 첫날, 기후 ‘손실과 피해 기금’ 공식 출범… 미국 기부금은 UAE의 5분의 1수준
- UAE, 약 40조원 규모 기후 펀드 발표… 블랙록 등 파트너사로 참여
- 엑손모빌 CEO, COP28에서 IEA 비판
- COP28, 글로벌 탈탄소화 액셀러레이터(GDA) 출범
- 브라질 국영정유사 페트로브라스, 자국에서만 청정에너지 프로젝트 추진키로
- 브라질, 녹색성장 잰걸음...환율 헷지 프로그램 공개하고 GFANZ와도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