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고 EU에서는 지속가능성실사지침(CSDDD)이 가까스로 통과하면서, 기업 인권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임팩트온은 주요 인권 이슈 10개를 선정해 이슈별 주요 사건사고와 리스크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각 이슈별 상세 사례 분석은 임팩트온의 공급망 리스크 모니터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팩트온 기존 회원도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공급망 리스크 모니터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신규 가입이 필요합니다.
* 주요 인권 이슈는 유엔글로벌콤팩트와 주요 글로벌 기업의 인권보고서에 기재된 중대인권이슈(Salient Human Rights Issues)를 참조하여 선정하였습니다.
분쟁광물에 대한 논의는 콩고민주공화국을 중심으로 한 아프리카 분쟁 지역에서 반군과 무장 단체가 점령 지역에서 채굴한 광물을 판매하여 무기와 군수물자를 확보하며, 채굴 과정에서 아동노동을 비롯한 노동착취와 학대, 내전으로 인한 폭력과 인권 침해를 일으키고 있다는 비판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관련기사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⑦ 아동노동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⑨ 근로환경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 ⑥차별 및 괴롭힘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⑤ 공정임금 & 채용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④ 집회의 자유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 ③ 강제노동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②산업안전보건
- EU 공급망실사법, 이사회 합의…적용 기업 3배 줄어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① 사이버 보안
- 올해 美주총, ESG 주주제안 640건 넘는다…주요 안건은 기후변화, DEI, AI 윤리
- 구리 가격 상승 압박… 원인은 안전 규칙 위반 등 ‘인권 이슈’
- 애플, 2015년 대비 배출량 55% 줄였다
- 미국판 CSDDD 나오나... 미 의회, 강제노동으로 만든 배터리 미국 진입 금지 법안 추진
- 노르웨이, 유럽 최대 규모의 희토류 매장지 발견
- WBA 2000개 기업 인권평가, 한국 기업 점수는?
- 【칼럼】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의 핵심 이슈로 떠오른 광물 문제
- 공급과잉으로 희토류 가격 급락... 서구 국가들, "중국 없어도 잘 살아"
유인영 editor
inyoung.yoo@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