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고 EU에서는 지속가능성실사지침(CSDDD)이 가까스로 통과하면서, 기업 인권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임팩트온은 주요 인권 이슈 10개를 선정해 이슈별 주요 사건사고와 리스크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각 이슈별 상세 사례 분석은 임팩트온의 공급망 리스크 모니터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팩트온 기존 회원도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공급망 리스크 모니터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신규 가입이 필요합니다.
* 주요 인권 이슈는 유엔글로벌콤팩트와 주요 글로벌 기업의 인권보고서에 기재된 중대인권이슈(Salient Human Rights Issues)를 참조하여 선정하였습니다.
근로시간은 임금 다음으로 노사관계에 있어 주요 쟁점으로 다루어지는 사안입니다. 특히, MZ세대는 임금보다 워라밸(Work-life balance, 일과 삶의 균형)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어, 비자발적 초과근무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큰 편입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플랫폼 노동 등 새로운 근로형태가 나타나면서, 새로운 유형의 근로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현장직의 경우,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이 근로환경 문제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열사병, 탈수증 등의 증세로 인해 사망하는 사례들이 증가하면서 인권 리스크가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 ⑥차별 및 괴롭힘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⑤ 공정임금 & 채용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④ 집회의 자유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 ③ 강제노동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②산업안전보건
- EU 공급망실사법, 이사회 합의…적용 기업 3배 줄어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① 사이버 보안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⑩ 분쟁광물
- 【10대 글로벌 주요 인권 리스크 분석】⑧원주민 권리
- ILO 보고서, 전 세계 노동자 70%,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 위기
- 미국판 CSDDD 나오나... 미 의회, 강제노동으로 만든 배터리 미국 진입 금지 법안 추진
- EU 사법재판소, 유럽 최대 철강 공장에 가동 중단 판결
- 미 정부 최초로 폭염 대비 노동자 보호 규칙 발표…트럼프 당선 시 추진 어려울수도
- WBA 2000개 기업 인권평가, 한국 기업 점수는?
- 미 연기금, 사모펀드에 노동자 보호 요구…대체투자 증가로 리스크 커져
- 日 자민당 총재선거, 노동 시장 유연화 논의 시발점 되나
유인영 editor
inyoung.yoo@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