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팩트온의 【월간 ESG 아카이빙】은 매월 분야별 ESG 트렌드를 주제별로 정리해 제공하는 연중 기획 시리즈입니다.
Key Takeaways
- 정유업계는 단기적인 탄소배출 감축 목표를 일부 유예하고 원유 생산량을 늘렸지만, 장기적으로는 친환경 산업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는 '투트랙 전략'을 취하고 있다.
- CCUS 사업에 대한 계획 발표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래 전망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갈리고 있다. 찬성 측은 정책적 지원이 있을 경우 글로벌 탄소중립의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는 반면, 반대 측은 높은 비용으로 인해 부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 인공지능(AI)이 각광받으면서, 이에 대한 기후변화영향도 조명받고 있다. AI를 통한 온실가스배출 감축, 에너지 사용 최적화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 반면, AI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변화 허위정보 유포가 주요 리스크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기사
- 셰브론, 일본 JX석유개발과 아태지역 CCS 가치사슬 공동 개발
- BP와 에퀴노르 합작사, 6조원 규모 CCUS 프로젝트 9개사 계약 체결
- 엑슨모빌과 셸, 싱가포르 CCS 민관협력 프로젝트 추진
- 셸, 네덜란드 법원 탄소감축 명령에 항소… “법적 근거 없는 판결”
- 【월간 ESG 아카이빙】3월-ESG 정책...정치와 산업 사이
- 글로벌 에너지업계 리더, 1800명에게 물었다...에너지 전환, 고충과 해결 방법은
- 영국, 에너지 옴부즈만 제도 적용 확대…에너지 거래 리스크 보장 강화한다
- 【월간 ESG 아카이빙】 3월- 이달의 핫이슈
- 그린수소와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합성천연가스… 에너지 전환에 독 된다?
- IEA, 청정에너지 글로벌 경제 견인…GDP 성장률 10% 기여
- 애플, 2015년 대비 배출량 55% 줄였다
- 블랙록, 에너지 전환에 매년 4조달러 필요 전망...'전환 시나리오 보고서'
- 차세대 항공연료 중 가장 가성비 높은 연료는 SAF가 아니다?
- 【월간 ESG 아카이빙】4월- 에너지&산업
- 【칼럼】주춤하는 에너지 전환, 투트랙 전략이 해답일까?
송선우 editor
dustin93@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