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복귀와 함께 전기차(EV) 충전 인프라 확대 정책이 중단되면서, 관련 기업들이 줄줄이 타격을 받고 있다. 블링크차징(Blink Charging), 차지포인트(ChargePoint), EV고(EVgo) 등 상장 충전업체들의 주가는 대선 다음 날 급락했고, 지난 1년간 고점 대비 약 70% 하락했다.
21일(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기차 시장 확대 속도가 예상보다 느린 가운데, 외국 생산 차량에 대한 관세 위협, 소비자 세금공제 축소 등 불확실성이 커지며 업계 전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국가 전기차 인프라(NEVI) 프로그램 중단
관련기사
- 트럼프 행정부, 28조 기후 자금 지급 중단… 美 법원, "이미 승인된 예산 집행해야"
- 美트럼프, 바이든의 전기차 전환목표 백지화
- 美 소매업체, 전기차 충전소 대대적 확충… 4분기 신규 설치 역대 최대
- 美 최대 충전업체 EV... 5년 내 7500개 고속충전소 추가 구축
- 미국의 전기차 인프라 확충, 트럼프 복귀 후 변화 가능성
- 中 창안, 전기차 3종 들고 유럽 공략… 네덜란드·독일에 거점 구축
- 트럼프 행정부, 유럽 대기업에도 DEI 정책 폐지 요구
- 美 태양광 업계의 '재고 승부수’…트럼프 관세 폭탄 피하려 창고에 쌓았다
- 트럼프發 관세 전쟁, 청정에너지 영향은?…배터리 가격 17% 뛴다
- 테슬라도 받았던 EV 충전 예산 중단… 美 17개 주정부 '소송'
- 보조금 삭감에도…美 고속충전소 703곳 증가, 분기 기준 역대 두 번째
- 미국 EV 고속충전소 사상 최대 확대…DR 기반 시간대 요금제 도입에 단가도 하락
- 美EV 충전산업, 세제혜택 종료로 M&A 재편 가속…최대 충전사 EVgo도 인수 카드 만지작
유인영 editor
inyoung.yoo@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