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이 유엔 기업 인권지침 원칙에 부합하는 인권 정책을 도입했다. 가장 중요한 인권 문제에 대해 이사회에 보고할 뿐 아니라 회사가 인권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기술하는 공개 연례 보고서도 공개할 방침이다.
페이스북은 “온라인상에서 점점 더 많은 인권침해가 발생되고 있다”며 유엔의 기업 및 인권 원칙 (UNGPs)을 토대로 인권 정책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인권 침해를 저지른 대상의 계정을 정지하고, 혐오 등 인권을 침해하는 요소가 있는 위험 게시물을 삭제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행보를 펼칠 예정이다.
더불어 페이스북의 게시물이 혐오·인종차별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으로 어떤 결과를 미쳤는지 인권 실사도 진행했다. 페이스북은 “전 세계 사람들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인권 실사 보고서는 페이스북이 분열을 조장하고 사회적 갈등과 폭력을 막는데 최선을 다하지 못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리는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고 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페이스북은 성소수자와 인종 차별 등 인권을 침해하는 게시물들을 단속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뭇매를 맞아왔다. 미얀마에서는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에 대한 탄압을 격화시키는데 사용돼 수천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인도와 스리랑카에서도 폭력 시위를 일으키거나 악화시키는데 사용되기도 했다.
관련기사: 빅테크 기업과 ESG의 역설
지금까지 페이스북은 표현의 자유를 이유로 게시물을 따로 제재하진 않았다. 사실 확인이 필요한 발언, 부적절한 게시물 등 혐오와 가짜 뉴스를 단속하는 트위터의 행보와 대비되면서 더욱 비판받았다. 미국 비영리 싱크탱크 '뉴아메리카 오픈테크놀로지연구원'이 디지털 기업의 인권 보호 수준을 평가한 RDR(Ranking Digital Rights)에 따르면, 트위터가 1위를, 페이스북은 5위를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페이스북을 통해 폭력 시위가 발생하고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자 정부 및 국가가 지원하는 군사 작전과 연계된 네트워크나 계정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등 단속을 실시했다. 지난 2월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 인스타그램과 주요 sns에서 미얀마 군부와 연결된 다수의 폐이지와 계정을 정지시키기도 했다.
이번 조치에 스웨덴 윤리위원회(Council of Ethics Council)의 존 호우친 사무총장은 “우리는 수많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IT의 리더십이 필요하다. 페이스북의 훌륭한 시도를 시작으로 업계에서도 이와 같은 움직임이 일어나길 바란다”며 환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