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지구 온난화 주범으로 꼽히는 ‘슈퍼오염물질(superpollutants)’ 감축에 본격 나섰다. 슈퍼오염물질은 이산화탄소보다 훨씬 강력한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단기 생존성 온실가스(SLCFs)로, 메탄, 수소불화탄소(HFCs), 블랙카본 등이 대표적이다. 

구글은 지난 10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인도네시아와 브라질에서 2030년까지 총 2만5000톤의 슈퍼오염물질을 감축하는 프로젝트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메탄 및 수소불화탄소 제거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두 곳과 협력해 총 25만톤 규모의 탄소배출권 계약을 체결했다. 구글은 해당 배출권을 자사 단기 배출 상쇄에 우선 활용한 뒤, 장기적으로는 영구 크레딧으로 대체하는 방식을 도입할 방침이다. 

슈퍼오염물질은 대기 중 수명은 짧은 반면 단위당 온난화 기여도가 높아, 이들 가스를 제거하면 이산화탄소 100만톤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구글은 2024년 한 해 동안 총 1억 달러(약 1420억원)를 투입해 79만톤 규모의 탄소 제거 계약을 체결했으며, 바이오차, 암석 풍화, 직접공기포집(DAC), 재조림 등 다양한 탄소 흡수 기반 기술에 집중 투자해왔다.

IMPACT ON(임팩트온) 유료 기사 전문은
회원가입+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