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해상풍력 1위 기업인 오스테드(Orsted)가 아시아 시장 공략 전략에 변화를 줬다. 신규 진출보다 기존 확보 지역에 대한 집중 투자로 방침을 선회한 것이다. 

로이터통신은 16일(현지시각) ‘에너지 아시아 2025’ 콘퍼런스에 참석한 오스테드 아시아태평양 총괄 페르 마이네르트 크리스텐센(Per Mejnert Kristensen)의 발언을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페르 마이네르트 크리스텐센(Per Mejnert Kristensen)는 ‘에너지 아시아 2025’ 콘퍼런스에서 오스테드 아시아태평양 총괄을 맡고 있다. / 에너지 아시아 2025 홈페이지
페르 마이네르트 크리스텐센(Per Mejnert Kristensen)는 ‘에너지 아시아 2025’ 콘퍼런스에서 오스테드 아시아태평양 총괄을 맡고 있다. / 에너지 아시아 2025 홈페이지

 

“신규시장 진입보다 유력 거점 집중”…투자 전략 선회

덴마크 국영 전력사 출신인 오스테드는 전 세계 해상풍력 개발량 기준 최대 사업자이자, 대만과 한국 등지에서 이미 수주한 프로젝트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비용 상승, 공급망 혼란, 투자자 신뢰 약화 등으로 2021년 고점 대비 시가총액이 약 80% 감소한 상태다.

크리스텐센 총괄은 “우리는 이미 확보한 주요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불확실성이 큰 환경 속에서 투자 가능성이 명확한 프로젝트를 선별해야 한다”며, 대만 정부의 정책 프레임워크를 높이 평가했다. 

크리스텐센 총괄은 “대만은 해상풍력에 적합한 풍황 조건과 얕은 해역을 갖추고 있으며, 조기부터 명확한 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상업적으로 실현 가능한 제도로 연결해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만 정부가 만든 제도적 틀 덕분에 국제 투자자와 현지 파트너가 30~50년에 걸쳐 장기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경로를 분명히 인식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대만은 투자 가능 환경 명확…한국 해상풍력, 세계 최대 잠재력 불구 ‘제도 불확실성’ 숙제

한국 역시 세계 최대 해상풍력 단지 중 하나인 신안 해상풍력 사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개발사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인허가 지연, 수익구조 불확실성, 제도 정합성 미비 등은 여전히 해결 과제로 지적된다.

크리스텐센 총괄은 “정치적 의지가 있다고 해서 곧바로 사업 가능성이 확보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상업적 실현 가능성을 담보할 제도적 프레임워크 부재는 일부 국가들의 해상풍력 확산을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한국 시장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분석이다.  

오스테드는 올해 들어 기존에 제시했던 2030년 재생에너지 설비 목표(35~38GW)를 철회했다. 신임 CEO 라스무스 에르보(Rasmus Errboe)는 투자자 신뢰 회복과 해상풍력 산업의 현실적 대응이라는 이중 과제에 직면해 있다. 현재 전 세계 해상풍력 운영 용량은 10GW이며, 이 중 0.9GW는 대만에 위치하고 있다. 한국과 호주에서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 프로젝트를 보유 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