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팩트온의 【월간 ESG 아카이빙】은 매월 분야별 ESG 트렌드를 주제별로 정리해 제공하는 연중 기획 시리즈입니다.
Key Takeaways
- 미국이 동맹국 기업의 중국 공장까지 수출 규제 대상으로 포함시켰다.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지정학 리스크가 실질 대응 국면에 진입하는 모양새다.
-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들이 AI를 국가 산업 정책으로 공식화하고 있다. 반면 IT 개발자 단가는 급락하는 추세다.
- 글로벌 철강 산업이 지정학 리스크와 전환 실패라는 이중 압박에 직면했다.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와 유럽의 고에너지 비용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관련기사
- 뉴욕주, 1GW 규모 원전 건설 추진…“에너지 수요 급증 대비”
- AI 전력난 해법, 지열이 뜬다…빅테크 '자체 전원' 확보 나서
- 국제전기통신연합 보고서, "데이터센터 전력소비, 전체 전력 증가율보다 4배 빨라"
- “사람이 없다”…전력 전환의 최대 병목, ‘엔지니어 대란’
- 【ON 포럼 인터뷰④】 글로벌 물류기업 머스크, 넷제로 목표 10년 앞당긴 이유
- 【월간 ESG 아카이빙】 5월 - 반도체/IT/철강/조선
- 탄소 제거도 AI로…MS, DAC인프라 데이터센터에 통합
- 애플, 美 MP와 5억달러 계약…재활용 희토류도 ‘현지 조달’로 전환
- 헬리온, 세계 첫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착공…2028년 MS에 전력 공급
- 【월간 ESG 아카이빙】 7월 - 반도체/IT/철강/조선
- 독일 내각, 지열·CCS 인프라 ‘공익 사업’ 지정…규제 병목 해소 나서
이재영 editor
lee_jaeyoung@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