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30~31일 한국에서 열리는 P4G(녹색성장과 2030 글로벌 목표를 위한 연대) 화두는 녹색금융이 될 전망이다. 산업은행과 기획재정부는 13일 사전 행사로 ‘기후금융포럼’을 개최하며 전 세계 녹색금융 현 주소에 대해 짚었다.

정부부처 중 지금까지 녹색금융을 선도하고 있던 기관은 금융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였다. 그러나 이번 포럼을 시작으로 기획재정부도 유관 부서로 움직일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탄소세 도입과 관련한 연구용역을 시작하고 2013년 만들어진 녹색기후기금 전담부서를 개발금융국 내 녹색금융기획과로 재정비하기도 했다.

기획재정부 이억원 제1차관은 “내년 기후대응기금 설치 법적 근거를 마련해 내후년부터 기후대응기금을 운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작년 12월 탄소중립에 필요한 재원 마련을 위해 기후대응기금을 새로 조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유사한 성격의 기존 특별회계, 즉 에너지 소비 관련 세제와 부담금, 배출권거래제 등을 전반적으로 손 보고 탄소세 도입 방안까지 언급한 만큼, 올해 안에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 차관은 더불어 “환경정보 공시 단계적 의무화하고, 기관투자자의 스튜어드십 코드 개정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2022년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기업에게 환경정보를 공개토록했고, 금융위원회는 2025년까지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기업에게 ESG 정보 공개를 요구한 바 있다. 거기다 스튜어드십 코드 개정까지 시사해 투자자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기업 경영 활동에 관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22년부터 자산 2조원 기업 환경정보도 의무 공시한다

탄소가격제도, 탄소국경조정세에 대해선 ‘불확실성’이라며 이가 무역분쟁으로 번지지 않도록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 차관은 “올해는 UN 파리협정 이행 원년”이라며 “국제사회와 협력적 기후금융을 통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후금융 지원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산업은행 "민간자본 녹색금융에 겁(scare) 줄 수도"

블룸버그 "탄소=돈으로 생각하면 감축 가능"

이번 포럼에서는 블룸버그 NEF 알리 이자드 아태지역 대표, 산업은행 김복규 부행장, 한국맥쿼리그룹 에릭 김 회장, 블랙록 코리아 최만연 대표 등이 참여해 녹색금융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내놨다.

블룸버그 NEF 알리 이자드 대표는 “한국은 캐나다 뿐 아니라 덴마크, 프랑스 같은 유럽 국가에 뒤이은 규모의 녹색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며 “아직 투자가 진행되지 않은 재생에너지, 전기자동차 전력 저장 장치(ESS), 탄소 포집 기술, 수소 등에 더욱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과세(탄소세 등)나 가격 책정(탄소배출권 등)으로 줄일 수 있는 탄소의 범위가 넓어졌다”며 “기후금융에 대한 의지와 2030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는 연관성이 높았다. 감축목표를 높이기 위해선 기후금융 규모 또한 확대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특히 탄소 배출량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선 SBTi(Science Based Targets)와 전 세계 기후정보 공개 표준 기준이 된 TCFD 도입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블랙록 코리아 최만연 대표는 "우리 투자자들은 지속가능한 투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투자가 훨씬 리스크 관리에 효과적이며, 이익과도 연결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라며 ”우리는 지속가능성을 위해 꾸준히 TCFD 채택과 비콥 인증을 요구하고 있다. 기업의 가장 큰 단점을 공개하는 게 제일 중요하다"이라고 말했다. 특히 재생에너지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며 녹색 인프라 구축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맥쿼리그룹 에릭 김 회장 또한 녹색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김 회장은 “녹색 인프라 신흥 시장 1천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며 “앞으로 인프라 투자에 있어선 공공과 민간 부문의 격차를 줄이는데까지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인프라 투자 귀재 맥쿼리가 전남에 뛰어든 이유

산업은행은 “금융기관은 대출과 투자를 통해 탄소 중립 경제와 녹색 경제로 산업을 변화시킬 수 있다”며 “우리의 임무는 민간 자본으로 녹색전환을 이루기보다 공공 자본으로 전환을 이뤄 차별점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일부분 민간 자본의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며 “다만 민간 자본투자는 녹색 전환에 공포로 다가올 수 있다”며 수위조절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