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치열한 전기차(EV) 가격경쟁을 억제하려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지만 효과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중국 내 상위 20개 완성차 브랜드는 7월에도 할인 정책을 그대로 유지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자동차시장 자료에 따르면, 7개 브랜드는 오히려 할인 폭을 키웠고, 나머지는 기존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줄이는 데 그쳤다. 7월의 할인 수준은 1년 전보다 높았다.
상위 20개 브랜드 할인 정책 유지…“소매가격 규제 쉽지 않아”
정부 정책의 미온적 성과는 초경쟁적 시장에서 가격을 실제로 통제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준다. BYD와 테슬라 같은 기존 강자들은 샤오미 같은 신규 진입자와 경쟁해야 하고, 니오·샤오펑(Xpeng) 등도 신차 출시를 통해 점유율 확대에 나서고 있다.
특히 BYD는 5월 말 대규모 할인으로 중국 정부의 경고를 촉발했지만, 할인 폭은 6월 7.9%에서 7월 7.5%로 사실상 제자리였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조안나 천 애널리스트는 “소매가격을 규제하는 것은 쉽지 않다”며 “완성차 업체들이 공식적인 출고가 인하 대신 무이자 할부, 가정용 충전기 무상 제공, 고급 시트 업그레이드, 차량 내 데이터 무료 서비스 등 다양한 판촉을 활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BYD의 평균 판매가격은 7월 11만4760위안(약 2240만원)으로, 6월 11만6200위안(약 2260만원)보다 떨어졌다. 지리자동차도 6월 10만5700위안(약 2060만원)에서 7월 10만4300위안(약 2030만원)으로 하락했다. 물론 이는 소비자들이 저가 모델을 선호한다는 신호일 수 있다.
BYD는 오는 8월 29일 상반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당국의 가격경쟁 억제 정책이 수익성과 출하량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가 주목된다. 올해 7개월간 249만대를 판매한 BYD의 2025년 목표인 550만대 달성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유럽 고급 브랜드의 평균 판매가격은 상승…정부 대출 제휴 중단 영향
외국계 완성차 업체들은 중국 정부의 권고를 더 따르는 모습이다.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 등 유럽 고급 브랜드의 평균 판매가격은 7월에 상승했다. 중국 정부가 은행들에 딜러에게 후한 수수료를 지급하는 자동차 대출 제휴를 중단하도록 지시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고급차 딜러 상당수는 이 수수료를 소비자 할인에 활용해 가격경쟁을 심화시켜왔다.
중국 EV 업체 리프모터(Leapmotor)는 정부 정책이 업계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가격 전략은 바꾸지 않겠다고 밝혔다. 마이클 우 리프모터 대표는 “우수한 기능과 가격 경쟁력으로 소비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전략을 유지할 것”이라며 “수직계열화 모델을 통해 원가 절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가격 경쟁이 지나치면 기업들이 기술 개발보다는 단기 판매량 확보에 몰두하게 된다. 또한, 가격 인하 경쟁이 장기화될 경우 ▲기업 수익성 악화 ▲중소·신생업체 도산 ▲투자 회수 지연 등으로 산업 전반이 불안정해질 위험이 크다. 샤오펑의 브라이언 구 대표는 “정부의 규제는 주로 대량 판매업체를 겨냥한 것”이라며 “품질 중심의 장기적 혁신과 더 나은 생태계 구축을 장려하는 방향은 유지된다”고 설명했다.
중국자동차유통협회 리옌웨이 고문은 “정부가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가격 경쟁 억제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며 “앞으로 가격이 더 내려가지는 않겠지만, 그렇다고 오르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