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될 예정인 COP 26.
오는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될 예정인 COP 26.

 

COP28(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유치를 위한 지자체간 경쟁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아직 개최국이 선정되지도 않았는데, 5개 지자체가 제각각 “우리 시도에서 COP28을 개최해야 한다”면서 캠페인부터 대대적으로 진행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중이다.

현재 COP28 유치에 나선 지자체는 남해안남중권, 제주, 부산, 경기 고양, 인천 등 5곳이다. 남해안 남중권은 전남과 경남의 12개 시도가 뭉쳤다. 인천은 오는 23일부터 100만인 서명운동을 벌이겠다고 12일 밝혔다. 인천은 지난 5월 ‘COP28 인천시 유치추진단’을 발족하고, 인천 연수구 송도에 위치한 녹색기후기금(GCF) 등을 활용한 유치활동도 벌이고 있다.

일주일 전인 9일에는 부산시가 ‘COP28 부산유치 추진단’을 발족했으며, 박형준 부산시장은 “COP28 개최 최적지는 부산”이라며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부산 발표 다음날인 10일, 제주특별자치도에선 ‘찾아가는 COP28 유치 기원 홍보버스’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는 '탄소 없는 섬 2030 프로젝트'를 기치로 내걸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100만인 서명운동을 본격 시작했다.

지난달 말에는 전남 COP28 유치추진단은 ‘COP28 남해안 남중권 유치 SNS 홍보단’ 발대식을 열고, 전 국민적 관심을 끌기 위한 홍보를 벌이기로 했다. 이들 12개시군은 정부에 ‘COP28 대한민국 유치 확정 전 개최도시 선 지정’을 위해 총력을 펼치고 있다. 환경부에선 오는 11월 한국이 개최지로 최종 결정되면 각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 절차에 나선다고 했지만, 지자체에선 “그때는 너무 늦다”며 벌써부터 과열 경쟁을 벌이는 상황이다. 

 

인천 100만인 서명운동 개최 

제주선 '찾아가는 COP28 유치 기원 홍보버스' 운영

COP28 유치 경쟁이 국내에서 이렇게 뜨거운 이유는 영향력과 파급효과가 무척 크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5월 30일 “한국은 2023년 COP28 유치를 추진하고자 한다”고 밝히며 “앞으로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을 잇는 가교 국가로서 책임과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P4G에서 공식 유치 추진 의사를 밝힌 이후, 환경부와 지자체가 바빠졌다.

COP28은 기후변화협약 당사국들이 1995년 이후 매년 한 차례씩 2주에 걸쳐 개최하는 회의다. 197개국 2만여명이 참석하는 기후환경 분야의 최대 국제회의다. 5개 대륙을 순환하는 원칙에 따라, COP27은 아프리카에서 열리며 COP28은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에서 결정된다. 현재 아랍에미리트도 유치 의향을 밝히고 나섰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1997년 3회 일본 교토, 2002년 인도 뉴델리, 2007년 인도네이사 발리, 2012년 카타르 도하에서 열렸다. 한국은 2012년에 회의 개최를 위해 카타르와 경쟁했으나 탈락했다.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국제협약으로 유명한 교토의정서(1997년)와 파리협정(2015년)도 이 대회에서 채택됐다. 대회 개최 기간은 공식적으로 2주(14일_이지만 참가자들의 실제 체류 기간은 최장 25일가량이며, 참가자 수는 2만5000∼3만 명에 달한다.

COP28 당사국은 오는 11월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COP26에서 최종 결정된다. 

 

개최국 결정도 안 났는데, 지자체선 난리

산업계에선 "탄소감축 추가 부담 걱정"

COP28을 유치하려는 정부 및 지자체의 움직임과 달리 산업부는 속앓이를 하는 중이다. 우리나라에 COP라는 메이저 환경 국제회의를 개최하는 것은 2008년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창원), 2014년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평창)에 이어 세 번째가 된다.

하지만 COP28의 개최 당사국이 된다는 건 ‘기후 리더십’에 대한 모범을 보인다는 의미와 같다. 올해 COP26이 열리는 영국이 대표 사례다. 파리기후협약 이행을 독려하자는 취지로 세계 각국이 탄소중립 목표를 상향조정했는데, 단연코 영국이 1등이다. 지난 4월 열린 기후정상회의에서 영국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1990년 대비 2035년까지 78%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기존에는 2030년까지 68%를 줄이는 게 목표치였으나, 그보다 10%나 상향조절한 것이다. 당시 보리스 존슨 영국총리는 “세계 지도자들이 COP26까지 우리의 야심적인 목표를 뒤따르는 것을 보고싶다”며 의장국으로서의 책임감을 내비쳤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2030년까지 35% 상향조정한 법안에도 산업계의 탄소 부담이 상당한데, COP28 유치로 인한 추가 부담이 더 늘까봐 걱정”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영국만 해도 제조업 비중이 9%에 불과하지만, 우리나라는 제조업 비중이 28.8%로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환경부에선 “COP28 유치는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응 리더십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경제성장, 그린 뉴딜을 바탕으로 기후대응 취약국에서 기후대응 롤모델로서의 역할을 보여줄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단기간에 하기 힘든 산업구조에서, COP28은 도전이자 리스크라는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