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릴 COP(기후당사국총회) 26을 앞두고 의제를 미리 조율하기 위한 G20 환경장관, 기후에너지장관이 폐막했다. 22일(현지시각) 가까스로 ‘기후대응 선언문’을 채택했지만, 이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 결과, 장관들은 “앞으로 3개월 이내에 새로운 기후목표를 채택하겠다”고 약속했으며 “NDC(국가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높이겠다고 밝혔지만, 러시아, 중국, 인도, 사우디아라비아의 반대로 석탄을 단계적으로 폐기하거나 화석연료에 대한 보조금을 없애는데 합의하지는 못했다”고 FT는 밝혔다. 회담은 목요일 저녁까지 밤새도록 진행되었으며, 예상보다 하루 반이나 늦은 일요일 ‘최종 공동성명 전문’이 발표됐다고 한다.
마지막 공동선언에서 G20 국가들은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산업화 이전인 1.5도로 제한하기로 합의했다. 이전 합의에선 지구 온난화 온도 제한을 2도로 설정했다. 기후싱크탱크인 에코(Ecco) 공동창업자 루카 버가마스키(Luca Bergamaschi)는 “G20이 1.5도의 긴급성을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환영했다.
하지만 이번 회담에는 각 나라별 현안에 대한 갈등도 확인됐다. 공동선언문, 대통령 서한과 함께, 인도는 “G20이 배출량을 1인당 평균으로 줄여야 한다”는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국가별 감축목표가 아니라 인구대비 감축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영국의 알록 샤르마 COP26 대표는 “일부 국가에서 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회담에서 석탄을 제한하자는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답답하다”고 밝혔다.
COP26 이전에 새로 강화된 기후계획을 제출하겠다는 약속은 “여러 나라를 궁지에 몰아놓을 것”이라고 기후옹호단체인 E3G의 선임연구원은 밝히기도 했다.
2015년 합의된 파리협정에 따라, 모든 서명국들은 COP 정상회담을 앞두고 새로운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제출하도록 요구되고 있지만 많은 서명국들이 아직 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 FT는 “아직 이 목표를 제출하지 않은 나라로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한국 등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터키는 23일 공동성명과 달리 성명을 낸 후 “개발도상국으로 재분류되지 않으면 비준하지 않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어떤 아젠다가 논의 테이블 올랐나
환경부가 밝힌 보도자료에 따르면, 우선 환경장관 회의에서는 ▲생물다양성 ▲지속가능한 물관리 ▲순환경제 및 플라스틱 ▲녹색금융 활성화 등이 논의됐고, 기후에너지장관 회의에서는 ▲각국 NDC(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갱신 ▲미 타결된 파리협정 이행규칙 타결 ▲청정기술 투자 ▲기후 금융 주류화 및 기후재원 확대 등이 논의됐다.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은 “더 상향된 NDC(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마련하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현재 탄소중립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 윤순진 서울대 교수)는 10월 말 상향된 NDC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미 주요국은 거의 대부분 상향한 NDC를 밝힌 상태로, EU는 1990년 대비 55% 감축, 영국은 1990년 대비 78% 감축, 미국은 2005년 대비 50~52% 감축, 일본은 2013년 대비 46% 감축 등이다. 우리나라는 40~50% 사이의 NDC를 제시할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45% 감축 목표로 정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온다.
만약 COP28 총회 주최국이 한국이 될 경우, 주최국으로서의 탄소 중립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번에 새롭게 상향한 NDC 가운데 영국이 기존 68%에서 올해 78%로 감축목표를 올리고 가장 강력한 목표안을 제시한 배경에는 “기후당사국 총회 주최국으로서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유무형의 압박 때문이었기 때문이다.
- 【뉴스 읽기】 G20, 사상 최초로 탄소 가격 지지한 배경
- IMF, 기본 탄소가격 75달러(8만5000원)으로 제시
- 【뉴스읽기】 G7 정상회담이 남긴 ESG 이슈
- G7, TCFD 의무화에 동의... 현지 언론 "역사적 합의"
- 기후 정상회담③(끝) 이제는 한국의 시간... 돌려막기 기후정책은 그만
- 【박란희의 TalkTalk】 존 케리와 마크 카니... 한국의 기후 리더십이 없다
- 中·美, G20 지속가능금융 연구그룹 이끈다
- TCFD, 세계 공통 기준으로 우뚝... G20 정상회담서 발표될 듯
- 슈나이더 일렉트릭, '100일 가능성 이니셔티브' 손잡은 이유
- COP28 국내 유치 경쟁 치열...탄소 감축 속앓이 하는 산업계
- UN 총회 앞두고 기후 변화 경고하는 의료계, '기후 로비 참여?'
-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자금 대출로 전 세계 950조 원 규모의 자연 피해 일으켜
- COP28, 화석연료 철폐 논의...BOGA와 NZAOA 역할 클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