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지리아 정부가 최근 2060 탄소중립 달성 이행을 위해 5개년 탄소예산을 수립하는 기후법안을 발표했다./ 유엔

아프리카 최대 석유 생산국이자 인구 맹주국인 나이지리아가 개발도상국 최초로 탄소중립 달성에 필요한 ‘탄소예산’을 5년 단위로 세우고 그에 따른 계획을 마련한다는 내용의 기후법안을 최근 발표했다. 

이는 지난달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6)에서 무하마두 부하리(Muhammadu Buhari) 나이지리아 대통령이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약속에 따른 것이다. 

구체적으로, 나이지리아 정부는 기후법안에 따라 5년마다 탄소 예산을 세우고 배출량 완화 진행 상황을 추적할 방침이다. 본 법안은 2008년 제정된 영국의 기후변화법(Climate Change Act)을 토대로 하며, 영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아부자에 위치한 영국대사관을 통해 예산 수립에 대한 정기적 검토를 받게 될 방침이다. 

하지만 영국 기후변화법과의 차이는 주관부처에 있다. 영국은 독립성을 띄고 있는 기후변화 위원회(Climate Change Committee)에서 탄소 예산을 수립해 이행해 나가지만, 나이지리아 정부는 환경부 주축으로 내각의 승인을 받아 예산 수립과 집행이 진행된다.

또한 국가 기후변화 위원회(National Council on Climate Change)를 별도로 조직해 집행을 감독할 방침이다. 이 위원회는 무하마두 부하리 대통령이 이끌고 관계부처 장관, 국가안보보좌관, 나이지리아 중앙은행 총재가 참여하며, 여성ㆍ장애인ㆍ청소년 등을 포함한 민간 부문의 대표자도 참석해 감독한다. 첫번째 탄소 예산은 2022년 11월까지 발표할 예정이며, 5개년 배출량 감축 목표와 더불어 1년 단위 계획도 포함시킬 방침이다. 

본 법안 개정을 지원한 지속가능성 분야 컨설턴트인 유진 이투아(Eugene Itua)는 “프랑스, 스웨덴 등 일부 소수 선진국만이 탄소배출량 감축에 대한 정기적인 단기 목표를 설정했으며, 미국, 일본, 독일은 심지어 탄소감축을 위한 예산도 수립하지 않았다”고 꼬집으며 “나이지리아가 탄소 예산을 포함한 기후법안을 마련한 것은 칭찬받아야 한다”고 평가했다.

지난 7월 발표된 나이지리아 목표에 따르면, 2030년까지 탄소배출을 현재 대비 20%을 감축할 것이며, 이는 국제사회 자금 조달을 통해 47%까지 증가될 전망이다. 이를 토대로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방침이다.

한편, 지난 9월 맥킨지가 공개한 ‘아프리카의 녹색 제조업 교차로(Africa’s green manufacturing crossroads)’ 보고서는 아프리카는 화석연료 기반 제조업 비중이 높지 않기 때문에 탄소를 적게 발생시키는 그린(녹색) 경제 전환에 강점을 보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아프리카가 녹색경제로 전환하는 데 2조 달러(2350조원)이 필요하다고 추산했는데, 기존 산업을 탈탄소화하는 데 6000억 달러, 새로운 녹색 사업을 시행하는데 1조4000억 달러가 들 것으로 예측했다.

뿐만 아니라, 맥킨지는 파리기후협약에 따라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아프리카 대륙은 시멘트, 석탄액화연료, 정유 등 기존 업종에서 일자리 220만개가 사라지지만 전기차 충전 시설, 시멘트 대체품, 재생에너지 등에서 신규 일자리 600만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380만개의 일자리가 순증하는 셈이다.

이같이 아프리카의 더딘 산업화 속도가 오히려 녹색 경제를 구축할 기회로 작용할 거라는 긍정적인 전망 아래, 보고서는 아프리카 탄소중립 목표 달성 이행을 위해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 환경 조성 ▲녹색금융 활성화 ▲전기차 충전소 등 친환경 인프라 강화 ▲지역 인재 양성 ▲연구개발 가속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