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목표 시기, 선진국보다 20년 늦은 2070년
세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 번째로 많은 국가인 인도가 207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밝혀 전 세계에 놀라움을 안겼다.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과 인도 언론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1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정상회담 연설에서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해 ‘2070년까지 넷제로(Net Zero・온실가스 순배출량 0)에 도달하겠다’는 과감한 공약을 내세워 눈길을 끌었다.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명시된 것처럼, 지구 온도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 상승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가 2050년까지 순탄소배출 제로(0)를 달성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과학자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최악의 충격을 피하려면 전 지구적 차원에서 205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한다.
모디 총리가 내세운 인도의 탄소중립 목표 시기인 2070년은 과학자들의 주장이나, 다른 나라의 목표에 비하면 상당히 늦은 편이다. 미국・영국・유럽연합(EU)의 탄소중립 목표 시기는 2050년이고, 중국・사우디아라비아의 탄소중립 목표 시기는 2060년이기 때문이다.
선진국이 기후금융 1조 달러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
인도의 연간 탄소배출량은 2019년을 기준으로 7억1천400만t인데, 이는 중국(27억7천700t)과 미국(14억4천200만t)에 이어 세계 3위를 차지하는 수치다.
하지만 1750년부터 2018년까지 온실가스의 누적 배출량을 보면, 미국과 중국, 러시아, 독일, 영국, 일본 등 선진국보다 매우 낮은 축에 속한다. 산업혁명 이후 선진국 대열에 오른 이들은 대부분 누적 배출량이 많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은 3970억톤, 중국은 2140억톤, 러시아 1180만톤, 독일 900만톤, 영국 770만톤, 일본 580만톤에 이어 인도는 510만톤이다. 미국은 인도의 6배나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디 총리가 이같이 과감한 목표를 제시한 것과 관련, 전문가들은 인도는 인구가 13억 명으로 기후 영향에 가장 취약한 나라 중 하나라는 점이 이유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모디 총리는 인도가 전 세계 인구의 17%를 차지하지만, 탄소 배출에서는 5%의 책임만 있다며 선진국의 과거 온실가스 배출 행태를 언급했다. 이어 재생 에너지 비중을 지난해 38%에서 2030년 50%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이며, 2030년까지 비화석에너지로 500GW의 전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했다. 또한 소비된 연료당 방출된 탄소의 양을 일컫는 탄소집약도를 45% 줄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실질적으로 새로운 공약을 제시하지 못했고,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COP26에 불참한 가운데, 인도의 깜짝선언이 기후 정상회담에 활력을 불어넣긴 했지만, 수조 달러가 필요한 이 공약을 어떻게 이행할 것인지가 과제로 떠올랐다. 모디 총리가 개발도상국의 탄소중립으로의 전환을 돕기 위해 선진국이 더 많이 기여해야 한다면서 “선진국들은 가능한 빨리 1조 달러를 기후금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 것도 바로 이 맥락에서다.
1조 달러는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매년 지원하기로 한 연간 기후금융 비용 목표치인 1000억 달러의 10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이와 관련해 모디 총리는 “선진국은 지원 약속을 지키지 않았으며, 따라서 정의가 그들을 압박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COP26 현장에서 주목은 못 받았지만, 네팔과 태국도 각각 2045년과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세웠다. 또한 캐나다나 호주 같은 부국이 탄소중립과 관련해 단기목표를 설정하는 것을 거부해 빈축을 사는 모습도 보였다.
- 【COP26 특집】 COP26 정책 합의, 어떤 게 있었나?
- 안팎으로 큰소리 나는 COP26 …의미 있는 합의안 나올까
- 기후기술인가 금융인가... 빌게이츠와 마크카니 나란히 FT에 기고
- COP26 앞두고... MS, 100개씩 신축하는 데이터센터 탄소, 물 전략 발표
- 【COP26 특집】 COP26에 누가 참여하나?
- COP26 앞서 넷제로ㆍ기후 목표 강화한 글로벌 기업들
- COP26 Day 2일 어젠다... 삼림과 개도국 기후기술
- 안풀리는 COP26...돌파구 찾으려면 여섯 가지에 집중하자
- 16년만에 정권 교체하는 독일, “녹색경제 전환”에 강한 드라이브
- 중국 풍력발전도 전 세계 장악하나…글로벌 경쟁 심화
- 나이지리아, 개도국 최초로 ‘탄소예산’ 마련 약속
- 인도, 화석연료 부족으로 석탄 수입 40% 늘려…국내 폐광도 재가동
- COP27 개막까지 50일…UN기후회의에서 해결 못 한 문제 해결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