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제조업체 다이킨이 기후변화 속에서 비즈니스 기회와 탄소중립 과제 갈림길에 직면한 가운데, 기술 혁신으로 돌파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그린이 밝혔다./ 다이킨 

세계 1위 에어컨 제조업체 다이킨(Daikin)이 온난화로 인해 급증하는 수요 전망을 갖고 있지만, 반대로 넷제로(탄소중립) 달성이라는 어려운 과제에 직면 중이라고 11(일) 블룸버그 그린이 보도했다. 토가와 마사노리(Masanori Togawa) 다이킨 최고경영자(CEO)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평가를 내렸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지구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에어컨의 전 세계 수요는 2050년까지 지금의 3배 가량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개발도상국의 가계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에어컨 소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열대지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두가지 현상은 다이킨의 비즈니스 입장에서 매우 긍정적인 신호이자 기회다. 글로벌 에어컨 시장 1위를 지키고 있는 다이킨이 증가하는 에어컨 수요에 맞춰 판매량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후변화 대응 목소리가 전세계적으로 커지고 정부 및 투자자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비즈니스 기회만 고려할 수는 없다. 에어컨은 상당한 전력을 소모시키고, 대기에 유해한 냉매를 배출하기 때문에 기후변화 책임에 벗어날 수 없다.

무엇보다 기온상승으로 에어컨의 판매가 증가하면 그만큼의 환경 유해 또한 높아지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를 사업 기회로만 보긴 어렵다. 때문에 다이킨은 일본정부가 목표로 한 2050년까지 탄소중립에 동참하겠다고 약속하고, 저탄소 에어컨 기술 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기 시작했다. 즉, 기술개발로 비즈니스 기회와 넷제로 달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로 한 것이다.  

친환경 기술 개발을 제시한 토가와 CEO 계획은 투자자들의 지지를 받았고, 그 영향으로 그가 재임한 지난 8년동안 다이킨의 주가는 3배 이상 상승해 토픽스(도쿄 증권거래소의 주요 주가 지수)를 앞질렀다.

IMPACT ON(임팩트온) 유료 기사 전문은
회원가입+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