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산림 파괴 제로화 약속 지키려면 ‘긴급 조치’ 불가피
전 세계적으로 지난해 산림 파괴 정도가 둔화됐지만, 오는 2030년까지 산림 파괴를 없앤다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긴급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산림선언플랫폼(Forest Declaration Platform)은 지난 24일(현지시각), 보고서 'Are we on track for 2030?'를 발표하고, 산림 파괴의 현황을 근거로 향후 대응 방안을 검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 산림 파괴를 없앤다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산림 파괴율을 연간 10%씩 감축해야 하는데, 지난해 감소율은 6.3%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등 일부 국가의 성과로 산림 파괴가 약 6.3% 줄었지만, 전 세계 산림은 지난해에만 약 7백만 헥타르가 파괴됐다. 파괴된 산림으로 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는 유럽연합(EU)과 일본의 배출량을 합친 수준이다.
지난해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에 참여한 145개국은 2030년까지 산림 파괴를 없애기로 선언했다.
클라이밋포커스(Climate Focus)의 연구원 에린 맷슨(Erin Matson)은 “COP26에서 합의한 산림 선언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며 “전 세계의 산림 면적 90%에 해당하는 국가들이 지도자 수준에서 산림 보호 목표를 최초로 수용했다”고 밝혔다.
산림 파괴 감소율 가속해야 2030년 목표 달성 가능
지금 추세대로라면 2030년 산림 파괴 제로화 선언은 달성할 수 없다고 연구진들은 경고한다. 현재 삼림 파괴를 멈추기 위해 마련한 조치가 명확하지 않거나 투명하지 않은 것도 문제라고 지적한다.
산림선언플랫폼은 보고서에서, 현재 산림 파괴 방지에 필요한 자금 가운데 약 1%만 투입되는 실정이고, 정치적 의지도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가디언은 세계자원연구소(WRI)의 글로벌 산림 감시기구(Global Forest Watch) 연구원인 데이비드 깁스(David Gibbs)가 “세계가 공허한 약속 가운데 산림이 사라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라고 경고한 사실을 보도했다. 실제로 산림 파괴는 감소하고 있지만, 2030년까지 목표에 도달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브라질, 볼리비아, 콩고민주공화국, 파라과이 등 산림 파괴 면적이 가장 큰 상위 5개국 가운데 4개국에서 지난해 산림 파괴가 늘었다.
산림선언플랫폼은 일부 ‘예외적인 진보’를 보인 국가 사례를 바탕으로 2030년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지난 5년간 꾸준히 산림 파괴를 줄인 인도네시아, 지난해 산림 파괴를 약 25% 줄인 말레이시아 등이다. 또, 열대 아시아 지역은 2030년까지 산림 파괴가 없는 유일한 지역이라고 알렸다.
보고서에 따르면, 산림으로 덮인 면적을 의미하는 산림 덮개(tree cover)가 증가한 지역은 지난 2000년 이후 일부에 그친 반면, 전체적으로는 손실된 지역이 많았다.
또, 새로 형성된 산림은 탄소저장량과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기존 산림과 비교해 부족한 능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존 산림을 보호하는 것이 새로 산림을 형성하는 방안보다 지구 온도를 낮추는 등 다양한 기후 이점이 있다는 것이다.
COP26의 산림 선언을 지지한 국가들은 산림 파괴에 대처하기 위해 기금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구체적인 이행 방안은 아직 미지수라고 가디언은 평가했다.
환경보호 관련 비영리단체인 국제보호협회(Conservation International) 연구자인 마이클 월로신(Michael Wolosin)은 “전 세계가 산림 지대의 혜택을 받고 있다”며 “산림을 유지하려면 산림 지대를 보유한 국가에 인센티브를 부여해야 한다”고 가디언을 통해 밝혔다.
관련기사: 【10억 그루 탄소뱅크 ⑤】 푸른아시아, 왜 10억그루 나무 심기에 나섰나
관련기사: 녹색기후기금(GCF), 5억5000만달러 기후변화 대응 사업 추진… 산업은행 GCF 자금 지원받아
- 녹색기후기금(GCF), 5억5000만달러 기후변화 대응 사업 추진… 산업은행 GCF 자금 지원받아
- 【10억 그루 탄소뱅크 ⑤】 푸른아시아, 왜 10억그루 나무 심기에 나섰나
- 글로벌 소비재 기업의 삼림 관리 노하우는?
- SBTi, 농업, 임업 및 기타 토지이용에 대한 새로운 목표 기준 내놓아
- 탄소 크레딧의 개선 방안… 데이터 분석과 투명성 확보가 관건
- 글로벌 싱크탱크, COP27 앞두고 각국 기후목표 분석해 발표
- WRI, 태양광 투자 로드맵 발표… 2030년까지 1조달러 투자 유치 목표
- 세계 최대 펄프기업 등 6개사, 브라질에 20억그루 심는 바이오마스 설립
- 소비자와 기업, 숲을 잇다… FSC코리아 비즈니스 포럼 개최
- 【EU, 삼림 벌채 관련 상품 수입 금지법 합의】 Q&A로 풀어봤다
- ICE 상품거래소, 삼림벌채 추적 서비스 출시 계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