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홈페이지
대한상공회의소 홈페이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 이하 대한상의)는 17일 발표한 ‘국내 탄소 포집 · 활용 · 저장 기술(이하 CCUS) 현황과 과제’ 라는 보고서를 통해, “현재 세계 주요국들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주요 핵심기술로 CCUS에 주목하고 있다”며, “해외 탄소 저장소 확보와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CCUS는 화석연료 사용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해서 저장하거나 활용하는 기술이다. 화석연료로부터 나오는 탄소를 모아 저장하는 CCS(Carbon Capture & Storage)와 포집한 탄소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CCU(Carbon Capture & Utilization)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이하 IPCC)는 지난달 제6차 기후변화 평가 종합 보고서를 통해 2040년 이전에 지구 평균 온도가 1.5도씨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IPCC 분석에 따르면, 1.5도 증가에 머물기 위해서는 2100년까지 최대 1조 2180억 톤의 탄소를 CCUS로 처리해야 한다. 결국 해당 분야를 선점하는 것은 탄소중립을 실현하면서 미래 기후변화 산업의 주도권을 가져갈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뜻이다.

우리나라는 국가 탄소중립 ·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따라 CCUS의 2030년 감축목표를 기존 1040만 톤에서 1120만 톤으로 80만 톤 확대했다. 2030년까지 누적으로는 1680만 톤을 감축해야 하는 상황이라 CCUS 기술 개발과 사업 추진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 주요국, CCUS기술 투자기업에 세액공제 등 인센티브 확대

올해 3월 공개된 EU의 탄소중립산업법(Net-Zero Industry Act, NZIA)에서는 CCS를 ‘전략적 넷제로 기술’, CCUS를 ‘넷제로 기술’로 지정하고 관련 산업을 EU 역내 유치하기 위한 인허가 단축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관련 기술·제품의 연 수요 40%를 역내에서 생산한다는 목표를 통해 시장을 창출할 예정이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CCUS 설비 설치 등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세액 공제 등의 지원을 강화했다. CCS의 경우 탄소 1톤당 85불(약 11만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캐나다도 CCS 투자비의 50%, 대기 중에서 직접 탄소를 포집하는 기술인 DAC(Direct Air Capture) 투자비의 60%에 대해 세금을 공제해준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CCS는 산업부, CCUS는 과기부에서 담당하는 등 아직 CCUS 관련 정책 지원을 총괄하는 책임부처가 명확히 정해지지 않은 실정이다. 

 

국내 대기업도 해외 탄소 저장 사업 추진, 저장소 확보가 관건

국내 기업들도 해외 탄소 저장소 확보 전쟁에 뛰어들었다. SK E&S는 호주와 동티모르에서 2030년 기준 연 300만 톤 규모의 CCS사업을 추진 중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은 6개 회사와 협력해 말레이시아에‘27년부터 연 200만 톤 규모의 사업을 추진 중이다. 

문제는 우리 나라와 같이 탄소 저장소가 부족한 국가는 런던협약(폐기물 및 기타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방지에 관한 협약)에 따라 포집된 탄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국가간 협약이 선행돼야 한다. 또한 양국이 모두 런던의정서 개정안에 대한 수락서를 국제해사기구(이하 IMO)에 조속히 기탁해야 한다.

권이균 한국CCUS추진단 단장은 “탄소 저장소로 전환이 가능한 생산종료 예정 가스전을 확보하기 위해 각국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며, “우리나라가 2022년 4월 런던의정서 개정안 수락서를 IMO에 기탁 완료한 만큼 탄소 저장소를 확보하고 있는 상대 국가도 런던의정서 개정안 수락서를 IMO에 조속히 기탁하도록 협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내의 높은 CCUS 비용도 문제다. 국내 저장소가 부족한 만큼 탄소를 수출하기 위한 수송 비용을 고려할 때 경제성이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CCUS 비용은 탄소 1톤 당 150불(약 19만원) 수준이다.  

유종민 홍익대학교 교수는 “국내 선도기업들이 탄소중립을 위해 CCUS 추진을 준비하고 있지만 미국, 호주 등 탄소 저장소가 확보된 CCUS 최적 조건보다 기술 적용 단가가 2배 이상 비싼 수준”이라며, “정부가 탄소차액계약제도, 세제 지원 확대 등을 통해 국내 기업의 탄소중립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탄소차액계약제도(Carbon Contracts for Differences, CCfD)는 정부가 기업에게 일정기간 고정된 탄소 가격을 보장해 탄소중립 기술투자의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제도로, 환경부는 올해 배출권 거래제와 연계해 해당 제도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국가 목표와 계획이 확정된 만큼 앞으로는 탄소중립 수단에 대한 개발과 상용화를 통해 본격적인 이행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며 “유럽, 미국과 같이 탄소중립 기술과 산업을 명확히 지정하고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탄소중립과 경제성장이라는 두 가지 국가적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BCG 분석, CCUS기술 설비 용량 늘수록 투자 비용은 낮아져

한편, 보스턴 컨설팅그룹(이하 BCG)의 분석에 따르면, 현재 개발 중인 여러 프로젝트의 진전에 따라 초기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기후기술 탄소감축 용량이 2035년까지 약 3억톤(MTPA)의 탄소를 감축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다. 이는 오늘날 운영되고 있는 CCUS 기술 용량의 약 10배에 달하는 양이다. 

BCG는 CCUS 수요에 관하여 가장 보수적으로 평가한 IEA ‘넷제로 2050 시나리오(NZE, Net Zero Emissions by 2050 Scenario)’를 분석에 활용했다.

CCUS 기술도 설비 용량이 늘어날수록 투자 비용은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CG는 이러한 비용 절감을 고려하여 4000MTPA 탄소 감축량 목표 달성에 있어 기존 추정치보다 약 1/3 낮은 수준인 톤당 최소 65~75달러(약 8만4760~9만7800원) 의 국가별 인센티브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한다. 

BCG가 CCUS 기술에 낙관적인 이유는 석유∙가스 기후 변화 이니셔티브(OGCI, Oil and Gas Climate Initiative)와 협력하여, 2050년까지 막대한 비용 부담 없이도 전 세계 탈탄소화에 필요한 수준의 CCUS 기술을 구축할 수 있음을 입증했기 때문이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가치 사슬 전반의 이해 관계자들이 지금보다 훨씬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한다.

BCG 추정치에 따르면, CCUS 기술 용량은 2035년까지 약 300MTPA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여기에 600MTPA의 용량 추가를 위한 여분의 수익성 높은 프로젝트들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즉, 현재 비용과 인센티브에 기반하여 합리적인 자본 비용을 가정한 상태에서도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 프로젝트는 CCUS 인프라를 공유하고 운영 위험을 줄이기 위해 허브가 될 수 있는 지역에서 진행 중이다. 이들 프로젝트가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되지는 않았다. 본격적인 진행에 앞서 정부 규제나 허가, 정부 지원 상업 계약 등에서 더 나은 조건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1000MTPA에 육박하는 거대한 감축 용량을 확보할 길이 열렸다는 점이다.

또한, BCG는 대규모 CCUS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정책 입안자와 기업의 행동이 필요하다고 한다. 즉, ▲인센티브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CCUS 기술 활용 가속화 ▲탄소 가격제 및 금융 제도의 전 세계적 확대 ▲저탄소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창출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