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스플래시
 언스플래시

안토니우 구테흐스(Antonio Guterres) UN사무총장은 이번 주 런던에서 열린 긴급 해운 회담에서 2050년까지 넷제로 합의를 촉구하고 더 빨리 탄소를 제거할 것도 촉구했다고 로이터가 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해운은 세계 무역의 약 90%를 운송하고 세계 배출량의 거의 3%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해운업계가 탄소 부담금을 포함한 보다 구체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요청을 받고 있다.

UN의 해운 기구인 국제해사기구(IMO)의 제80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는 3일부터 7일까지 열린다. 회담은 국제해사기구(IMO)의 런던 본부에서 열리고 있다. 회원국들은 업그레이드된 온실 가스 배출 전략을 채택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탄소 배출에 대한 부담금에 대한 제안도 있다.

각국이 부담금을 추진하기로 합의하면 탄소 가격 수준과 세입이 어떻게 사용되는 지와 같은 세부 사항은 향후 1~2년 내에 협상될 것이라고 대표단은 말했다. 

 

배출 부담금에 대한 합의도 문제지만, 사용처에 대한 의견도 갈려

환경운동가들에 따르면, 인도, 브라질, 사우디 아라비아, 중국을 포함한 국가들은 국제해사기구의 기후 목표에 대해 지지하지 않지만, 어떤 국가들이 부담금에 반대할 지는 불분명하다고 한다.

부담금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 저탄소 연료와 항만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필요한 해운의 탈탄소화는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부담금으로 얻은 수입을 어디에 써야하는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탈탄소에만 사용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돈의 일부를 국가들이 기후 영향에 대처하는 것을 도와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로이터의 메모에 따르면, 중국은 "선진국들이 국제해사기구가 비현실적인 비전과 수준에 도달하도록 압박하고 있으며, 특히 국제 해운 산업이 늦어도 2050년까지 넷제로에 도달하도록 요구하고 있다"며, "기후 변화를 이유로 해운 부문 이외에 수익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덧붙였다.

파이낸셜 타임스가 처음 보도한 이 메모를 확인해 달라는 요청에 중국 외교부 왕원빈(Wang Wenbin) 대변인은 3일 베이징에서 기자들에게 "국제해사기구가 다른 국가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며 "개발도상국의 정당한 우려를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해사기구를 통해 해양 배출을 억제하려는 이전의 시도는 자국 해운 이익을 보호하려는 중국, 인도,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국가들에 의해 좌절된 바 있다. 

 

넷제로 목표 자체로는 구속력 없어 다양한 대안 마련해야

한편, 블룸버그는 넷제로 목표 그 자체로는 구속력이 없으므로 실제로 배출량을 줄이려면, 석유를 덜 태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녹색 메탄올과 같은 저탄소 또는 제로 탄소 대체물을 석유 대신 사용해야 한다고 것이다. 아울러 선박을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풍력을 이용하는 등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대형 해운사들은 이미 움직이고 있다. 덴마크의 거대 해운사 머스크(A.P. Moller-Maersk A/S)는 녹색 메탄올을 사용할 수 있는 선박 25척을 주문했다. 또한, 경쟁 컨테이너 운송업체인 CMA CGM은 2027년까지 바이오 메탄올로 구동되는 e-메탄올 선박 24척을 인도받는다.

블룸버그에 의하면, 지난해 처음으로 총 톤수 기준으로 주문된 대부분의 선박은 액화천연가스를 포함한 대체 연료로 운행할 수 있다고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