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팩트온>은 지난주 지속가능경영, ESG 분야 뉴스 클리핑을 간단히 정리해 매주 목요일 제공합니다.

 

Environment(환경)

“2030년까지 공해 30% 보호구역화", 미국·EU 참여 글로벌 해양조약 공개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참여를 선언한 글로벌 해양조약이 유엔총회에서 공개됐다. 이 조약은 2030년까지 공해의 30%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해 어업과 항로 설정, 심해 채굴 등을 제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는 "글로벌 해양조약이 유엔 총회에서 서명을 위해 공개됐다"며 "이 시점부터 글로벌 해양조약에 각국의 서명과 비준이 가능해진다"고 밝혔다. 이어 "공해의 해양생태계 보호에 방점을 둔 최초의 조약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유엔 총회 공개에 앞서 미국, 유럽연합, 독일, 시에라리온, 뉴질랜드는 이 조약에 서명하기로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그린피스는 각국 정부가 2년 뒤 열릴 ‘2025년 유엔 해양 콘퍼런스(UN Sea Conference)’ 전까지는 비준에 참여해야 한다며, 한국 정부의 참여를 촉구했다.

EU '탄소 국경세' 시행 이어 美 의회도 초당적 입법 추진…한국 철강업계 등 '비상’

유럽연합(EU)과 영국에 이어, 미국이 탄소 국경세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시사 전문지 ‘타임’은 미 의회에서 민주당과 공화당이 초당적으로 탄소 관세(carbon tariff) 부과를 위한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에 새로 도입하려는 탄소 국경세 관련 입법에는 공화당 의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타임이 전했다. 미국 공화당 의원들이 의원들이 탄소 국경세 도입을 지지하는 핵심 이유는 주요 탄소 배출국이 중국·러시아 등 미국의 적대 국가들이기 때문이다. 미국이 탄소세를 강행하면, 중국 등과 전면적인 무역 전쟁이 발발할 위험도 있다고 타임이 강조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탄소세 도입을 추진해도 실제로 이를 시행하기까지 몇 년이 더 걸릴 수 있다고 타임은 전했다. 

영국 전기차 전환 2030에서 2035로 연기, 차 업계 반발

영국 리시 수낵 총리는 내연기관차 퇴출 시기를 종전 2030년에서 2035년으로 5년 연기했다. 2035년까지 휘발유나 디젤차를 살 수 있고, 이후에도 중고로 내연기관차를 살 수 있다고 밝혔다. 퇴출 시기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EU, 일본 등과 같다. 포드를 비롯한 자동차 제조사들은 반발했지만, 일본 도요타는 환영 의사를 밝혔다. 한편, 전기차 전환에 대해 전미 자동차 노조가 빅3를 상대로 부분파업에 돌입하고, 프랑스도 중국과 한국 등 아시아 생산 전기차 보조금 축소하는 내용의 개편안을 확정하는 등 곳곳의 반발이 일어나고 있다. 자국 전기차를 보호하기 위한 차원이다. 또 EU 의회는 2035년 이후 내연기관차를 팔지 못하도록 해놓고도 지난 3월 ‘이퓨얼(합성 연료)을 이용한 내연기관차는 계속 판매할 수 있다’는 예외 규정을 만들었다. 이퓨얼은 가솔린이나 디젤 대신 내연기관차의 연료로 쓸 수 있는데, 폴크스바겐, 포르셰 등 독일 업체들이 앞서 있는 분야기 때문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대기업 스코프 3 공시 의무화 임박

미국 연방 정부에 앞서 캘리포니아주의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스코프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의무화 도입이 확실시되고 있다. 스코프 3 공시 대상 기업은 캘리포니아에서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 중 순이익이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 이상인 기업이다. 폴리티코의 보도에 따르면 5400개 기업이 공시 의무화 대상이 될 전망이다. 한편, 미국에서 가장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적인 캘리포니아주는 엑손모빌과 셸, 셰브론, BP, 코노코필립스의 5개 정유사와 전미 석유협회를 대상으로 소송을 제기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소장에서 캘리포니아주는 이들 정유사가 수백억달러 상당의 피해를 줬고, 화석연료에 의한 피해를 축소해 대중을 기망했다고 주장했다. 캘리포니아주는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 복구를 위해, 이들 정유사가 제공한 자금으로 기금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탄소 배출 감소 위해 항공권 저가 경쟁 막아야"…佛, 가격 하한선 규정 추진

프랑스가 유럽 국가 간 이동하는 항공권 가격에 하한선을 두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프랑스는 기후 변화에 대응해 탄소 배출 감소 등을 목표로 유럽 국가들을 오가는 항공권 가격에 하한선을 규정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클레멘트 보네 프랑스 교통부 장관은 이를 위해 유럽연합(EU) 국가들의 지원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항공권 가격의 하한선이 정해지게 되면 저가항공사(LCC)에 타격을 줄 것이란 전망이 나와, 이번 조처가 확실한 지지를 얻을지는 불분명하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EU 관리들은 네덜란드와 벨기에를 포함한 국가들이 원칙적으론 이번 방안을 지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프랑스 이전에도 오스트리아가 이 같은 최저 하한선 규정 방침을 추진했지만, 법적인 복잡성에 의해 무산된 바 있다고 했다.

美 가상발전소 시장 급성장 전망…테슬라, 시장 선점 박차

미국에서 발전 설비와 에너지저장 장치(ESS)를 연계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전력 관리 시스템인 가상발전소(Virtual Power Plant·VPP) 기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코트라 미국 댈러스무역관의 '미국, 우리 집도 발전소가 되는 가상발전소에 주목' 보고서에 따르면, 텍사스주 공공유틸리티위원회는 지난달 테슬라에 가정용 예비 전력 저장장치(ESS)인 파워월 소유자를 대상으로 하는 2개 가상발전소 승인을 내렸다. 이는 캘리포니아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 가상발전소 개발 사업이다. 한편, 셸은 2019년 독일 가정용 ESS 공급사인 소넨, 2021년 유럽 최대 가상발전소 운영사인 넥스트크라프트베르케를 연이어 인수하며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카이퀘스트(SkyQuest)에 따르면, 세계 가상발전소 시장 규모는 2022년 64억7000만달러(약 8조7000억원) 수준에서 연평균 12.8% 성장해, 2030년에는 169억달러(약 23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쓰레기→플라스틱으로…맥도날드,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36% 감축

맥도날드가 탄소 및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 본격 나섰다. 맥도날드는 사회적 책임 경영 활동을 강화,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을 36% 줄인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스라엘 친환경 스타트업 UBQ매터리얼스와 협업을 확대해 탄소 배출을 감축하겠다는 계획이다. UBQ매터리얼스는 일반 쓰레기로 '대체 플라스틱' 알갱이를 만드는 기술을 갖고 있다. 종이·골판지·플라스틱·유리 등의 재활용품 쓰레기를 세척·건조한 뒤 잘게 부순 다음 압력을 가하면, 플라스틱과 비슷한 물성을 갖는 작은 알갱이를 만들 수 있다. 이걸로 상자나 파이프, 화물 운반대 등을 제작 가능하다. 이어 전기 부품·목재판 등 건자재에 UBQ 매터리얼스 제품을 확대 도입했다. 향후 공급·생산·물류 ·폐기 등 가치사슬 전 단계에 걸쳐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는 구상이다.

덴마크 머스크, 세계 첫 친환경 컨테이너선 공개…현대重 건조

탄소 배출량을 80% 이상 줄일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친환경 컨테이너 선박'이 덴마크에서 공개됐다. '로라'(Laura)로 명명된 신규 컨테이너선은 세계 최초로 친환경 연료인 그린 메탄올을 사용하는 선박. 기존 연료 대비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배출을 각각 99%, 80% 줄일 수 있어 차세대 친환경 선박으로 주목받고 있다. 로라호가 컨테이너선 치고는 규모가 작은 모델에 속하긴 하지만, 로라호 1대만으로 기존의 동급 선박과 비교해 하루 100t씩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머스크 그룹은 전했다. 또 내달 로라호 운항을 시작으로 오는 2025년까지 그린 메탄올 추진선을 19척 추가 투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中 넘쳐나는 EV배터리 생산력 ESS로 전환 시 韓기업들 타격 '불가피’

최근 전기차 증가세 둔화와 무분별한 진출 및 설비 증설로, 중국 배터리 업계가 생산력 과잉에 처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중국은 자국 내 전기차 배터리 수요량이 1000~1200GWh 그치는 반면, 업계의 생산능력 확대 계획은 4800GWh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기업들이 생산공정이 유사한 ESS 및 전기선박, 전기 경전철 등으로 사업확장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관련 보고서에서 중국 기업들이 남아도는 생산능력을 ESS로 재편해 확장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한 업계 관계자는 “향후 중국 기업들이 ESS로 확장에 나설지는 두고 봐야 할 문제”라고 했다.

TSMC, RE100 2040년 조기 달성 추진

TSMC가 2040년 'RE100(재생에너지로 전력 100% 충당)'을 조기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TSMC는 당초 계획했던 2050년보다 10년 앞당겨 RE100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2030년 전사 재생에너지 소비 목표를 전체의 40%에서 60%로 상향 조정했다. 유럽연합(EU) 등 해외 국가 관련 규제에 맞춰 향후 반도체 수출, 해외 진출, 해외 투자 유치 등에 지장을 최소화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TSMC는 세계 최대 재생 에너지 기업과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신재생에너지와 산업용 전력소비를 매칭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20년 장기 2만 기가와트시(GWh) 규모 신재생에너지 공동 계약도 체결했다.

셸, 中전기차 충전시장 본격 진출…BYD와 세계최대 충전소 운영

글로벌 거대 정유회사 셸(SHELL)이 중국 전기차 선두 업체 비야디(比亞迪·BYD)와 손잡고 중국 전기차 충전소 시장에 뛰어들었다. 경제일보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셸은 전날 중국 선전에 세운 전기차 충전소의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이 충전소는 BYD와 합작해 설립한 '선전 셸·비야디 전기차 유한공사'가 운영 책임을 맡는다. 선전 공항에서 2.5㎞ 거리에 있는 이 충전소는 총 258개의 충전기를 갖춰, 단일 전기차 충전소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시범 운영 기간 하루 3천300여 대의 전기차가 충전할 수 있고, 충전소 내에는 편의점, 커피숍, 음식점, 자동판매기 등 편의시설도 갖췄다. 건물 옥상에는 연간 30만 킬로와트시(㎾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설비가 설치됐으며, 생산 전력은 전량 전기차 충전에 사용된다.

탄소배출 절감 대신 기업이 구매한 상쇄배출권…대부분 효과 과장 평가돼

기업의 탄소 배출을 줄이는 대신 상쇄배출권을 구매해 배출 할당량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의 허점이 드러났다. 실제 탄소 배출 상쇄 효과를 과장되게 평가해 실질적인 탄소 배출효과가 없는 프로젝트가 다수 발견됐다. 가디언은 미국 비영리단체 ‘기업책임’과 세계 50대 프로젝트를 분석한 결과, 현재 탄소상쇄 프로젝트 대부분이 효과가 없다고 보도했다. 이들 50개 프로젝트는 개발도상국의 산림을 보존하거나 수력·태양열·풍력 발전을 건설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실제로 이런 시설을 구축하고 운영하면서 예측만큼의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것이 이들의 분석이다. 가령 짐바브웨의 산림 보존 프로젝트의 경우 탄소 감축 기여도가 5~30배 과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車업계 압박 통했나…EU, 새 배기가스 규제 완화 추진

유럽연합(EU)이 2025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 ‘유로 7’를 완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신차의 오염 물질 배출량을 대폭 줄여야 하는 규제 내용이 비현실적이라는 유럽 자동차 업계의 지적을 일부 수용했다는 분석이다. EU 27개국을 대표하는 EU 이사회는 배기가스 규제 ‘유로 7’ 중 개인 승용차 및 승합차와 밴의 배출 기준을, 현재 시행 중인 ‘유로 6’ 수준으로 유지하는 내용의 협상안을 채택했다고 발표했다. 대신, 버스 등 대형 차량에 대한 배기가스 기준은 강화하기로 했다. 이탈리아와 체코, 독일 등 일부 EU 회원국들은 엄격한 환경규제로 자동차 기업들의 투자가 제한되면, EU의 자동차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를 이유로 유로 7에 반대해 왔다. 이사회의 협상안이 법안으로 확정되려면 EU 집행위 및 유럽의회의 동의가 있어야 하는 만큼, 이 과정에서 추가 수정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탄소 배출권 거래소 인니서 본격 가동…1t당 6090원

인도네시아에 탄소배출권 거래소가 개설됐다. 인도네시아는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인도네시아 전력공사(PLN)는 지난 2월 PLN에 전력을 공급하는 99개 석탄 화력 발전소들에 총 2천만t의 탄소 배출 한도를 할당했다.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거래소 개장과 함께 13건 약 46만t의 탄소배출권이 거래됐다. 거래 가격은 1t당 평균 6만9600루피아(약 6090원)였다. 이날 팔린 탄소배출권은 모두 국영 에너지 회사 페르타미나가 소유한 북부 술라웨시의 지열 발전소에서 나왔다. PLN은 탄소 배출 한도를 적용받는 발전소가 PLN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발전 용량이 100㎿(메가와트) 이상인 석탄 화력발전소만이라면서, 앞으로는 PLN과 연결되지 않은 발전소와 발전 용량이 더 적은 석탄 화력 발전소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계 최초 탄소중립 법제화했던 스웨덴, 속도 조절 택했다

스웨덴 정부가 기후변화 대응의 속도 조절을 택해. 스웨덴 정부는 의회에 제출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기후변화 대응 및 친환경 정책 관련 예산을 2억5900만스웨덴크로나(약 310억원) 삭감한다"고 밝혔다. 이에 더해 휘발유 및 경유 등 화석연료 사용에 대한 유류세를 감면해 주는 내용도 포함됐다. 스웨덴 당국의 유류세 감면 조치는 지구 온난화 대응보다 '서민 물가 안정화'에 정책적 우선순위를 두기 시작했기 때문이란 분석도 나왔다. 엘리자베스 스반테손 재무부 장관은 기자회견을 통해 "지금은 많은 국민들에게 매우 힘든 시기"라며, 기후대응 속도 조절을 택한 이유를 설명했다.

중국 주도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기후금융에 대출·투자 등 66조 지원한다

중국이 주도하고 있는 다자개발은행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이 2030년까지 매년 기후변화 대출을 지금보다 3배 늘리겠다는 계획을 곧 발표한다. 2020년대에만 대출, 인프라 및 펀드 투자 등 기후금융을 66조 원 이상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중국 주도의 AIIB는 25일부터 이틀 동안 이집트에서 열리는 AIIB 연례 회의에서 ‘기후행동계획(climate action plan)’을 발표한다. AIIB의 기후행동계획은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에 관한 연간 대출 규모를 2030년까지 3배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AIIB는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에 관한 대출을 늘리기 위한 방안을 여러 가지로 구상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다른 다자 대출 기관과 공동 자금 조달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이다. AIIB의 기후행동계획에는 민간 부문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에 관한 대출과 아시아 및 그 밖의 신흥시장 주식형 펀드 투자도 포함된다.

전 세계 '청정수소' 비중 고작 0.7%…탄소 되레 9억 톤 배출

수소에너지 생산량이 계속 늘고 있지만, '청정수소' 비중은 1%도 채 안 돼 각국 정부가 수요를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간한 '글로벌 수소 리뷰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추출하거나 탄소포집을 활용해 생산된 '저탄소 수소' 비중은 전체 수소 생산량의 0.7%에 불과했다. 대부분 화석연료에 의존해 수소 생산으로 오히려 온실가스가 9억 톤가량 배출됐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IEA는 최근 인플레이션 압박이 천연가스 가격 하락 및 공급망 불안정과 맞물리면서 크게 증가한 자본비용을 지목했다. 실제로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수소 사업의 경우 자본비용이 3%포인트(p) 증가할 때 전체 사업비용이 30%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고 “4억달러 헛돈 썼다”…‘탈석유 장난감 개발’ 3년 만에 포기

‘전 세계 장난감 매출 1위’ 를 달리는 덴마크계 기업 레고가 친환경 대체재를 찾기 힘들다는 이유로 탈(脫) 석유 방침을 보류하기로 했다. 레고는 지난 2020년 9월, 석유에서 추출한 플라스틱 기반의 레고 블록 대신 지속 가능한 친환경 장난감을 개발하겠다고 선언하면서 향후 3년 간 4억 달러(약 5337억원)를 들여 대체재를 개발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닐스 크리스티안센 레고 최고경영자(CEO)는 24일(현지시각) 파이낸셜 타임스 인터뷰를 통해, “수백 가지의 대체재를 연구했지만 비슷한 광택과 재질을 가진 대체재를 찾기 힘들었다”면서 “일례로 재활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RPET)를 쓰는 경우 오히려 기존 플라스틱 블록보다 탄소 배출량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Social(사회)

UAW, 미 자동차 파업 이틀째 포드와 ‘생산적 회담’ 언급

전미 자동차노조와 포드는 ‘합리적으로 생산적인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디트로이트의 3개 사 자동차 노조 약 1만2700명 UAW 노동자들은 이틀째 파업을 계속하고 있다. 노조의 임금 요구안은 20% 즉각 인상과 2027년까지 40% 인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스텔란티스와 GM 및 포드는 4년 6개월 계약 기간 동안 20% 인상을 제안했으며, 기타 퇴직보장 개선 및 혜택 증대를 위해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 이상을 제공할 뜻을 밝혔다. 전기차 전환을 위해 비용 경쟁력 있는 계약이 필요하다는 자동차 회사와, 10년 동안 회사가 수익을 누렸고 2019년 이후 CEO 연봉이 평균 40% 인상됐다고 지적하는 노조 사이에 합의 조짐은 아직 보이지 않고 있다. 포드는 미시간 공장 파업 영향으로 600명 근로자를 무기한 해고하고, GM 캔자스 공장의 2000명 직원들에게 미주리 공장 파업으로 인한 부품 부족으로 다음주에 문을 닫는다고 말했다.

"생산성 낮아"…美기업들, 재택근무 폐지 확산

미국 기업 경영진들이 직원들에게 원격근무 대신 사무실 출근을 요구하고 있다. 배리 비플 프론티어 항공 CEO는 모건스탠리가 주최한 투자자 컨퍼런스에서 원격근무를 비판했다. 비플 외에도 팬데믹 이후 직원들의 생산성이 떨어졌다고 불평하는 CEO는 많다. 한때 원격근무를 지지했던 CEO들도 태도를 바꾸고 있는데, 마크 베니오프 세일즈포스 CEO와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대표적이다. 두 대표가 이끄는 기업은 올해 초 유연근무제 정책을 버리고 사무실 출근을 의무화했다. 저커버그는 인사정책 변경에 대해 "직접 만나 일하는 직원들이 더 많은 일을 해내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베니오프는 신입직원들은 사무실에 있을 때 더 잘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리섬빌더가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는 미국에서 90% 기업이 2024년 말까지 사무실 복귀 정책을 시행할 계획으로 밝혀졌다.

英 규제 당국 “소수 빅테크의 AI 독점 횡포 막을 것”…7대 원칙 발표

영국의 반독점 규제 기관인 경쟁시장청(CMA)이 AI 모델 독점으로 인해 소비자와 기업들이 피해를 보는 것을 막기 위해 7가지 원칙을 발표했다. CMA가 제시한 원칙은 개발자에게 책임을 부여하고, 빅테크가 폐쇄적 플랫폼 안에 기술을 묶어두는 것을 방지하며, 번들링과 같은 반경쟁적 행위를 막는 등의 내용으로 구성됐다. 특히, 챗GPT와 같은 기본모델을 규제하는 것이 목표다. CMA는 앞으로 정부, 학계, 다른 규제기관과 함께 구글, 메타,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과 같은 주요 AI 개발사의 의견을 물어볼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영국에선 오는 11월 초 글로벌 AI 안전 관련 정상회담이 개최될 예정이다. 영국은 지난 3월 AI 관련 새로운 규제 기관을 만들지 않고 CMA 등 기존 기관에 규제 책임을 나누기로 한 바 있다.

유럽 태양광 제조협의회, ‘강제 노동 금지법’ 도입 촉구…“中 신장 지역과 관계 끊어라”

유럽 태양광 제조 협의회(ESMC)가 글로벌 PV 공급망에서 강제 노동을 금지하는 법안을 채택할 것을 유럽연합(EU)에 촉구하고 나섰다. ESMC는 최근 EU에 “강제 노동을 통해 만든 PV 제품의 판매를 금지하는 법안을 조속히 채택하라”는 내용의 의견서를 전달했다. 의견서에는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 태양광 제품이 유럽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요구도 포함됐다. ESMC는 EU에 ‘강제 노동 금지 법안’과 더불어 △위험 영역 및 제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생성(database for over risk-areas and products) △책임 입증 매커니즘 구현(the implementation of a reversed burden of proof mechanism) △실사 의무 도입(the introduction of due diligence obligations) 등을 제안한 상태다.

 

Supply Chain(공급망)

“중국산 전기차에 중국산 전자부품만 사용”…미·EU 차량 반도체 회사 타격 불가피

중국 정부가 자국산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반도체 등 전자부품을 중국산만 사용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미국·유럽의 차량 반도체 회사들은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삼성전자·엘지(LG)전자도 영향이 불가피해 보인다. 요미우리신문은 복수의 중국 주재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의 산업정책을 담당하는 공업정보화부 전직 관리가 지난해 11월 중국 자동차 관련 업체들과 회의를 하며 “중국산 부품만을 사용하라”고 구두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 보도는 중국 공업정보화부 등 7개 관계부처가 지난 1일 공동으로 ‘자동차 산업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업무 방안’을 발표하며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를 위한 감독 틀을 만들겠다”는 방침을 내놓은 것과 일맥상통한다. 중국 정부가 이런 식으로 차량 반도체 규제를 본격화하면, 미국과 유럽 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日, 기술력과 수입처 다변화로 희토류 탈중국화 성공

한국처럼 희토류가 전혀 나지 않는 나라인 일본이, 중국 희토류 의존도를 2010년 90%에서 2022년 60%까지 낮췄다. 2022년 한국이 희토류의 85.7%를 중국에 의존하는 것에 비하면 괄목할 만한 수치다. 중국이 2010년 희토류 가운데 하나인 네오듐의 일본 수출을 사실상 금지한 것이 일본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국에 대한 희토류 의존도를 줄이는 전환점이 됐다. 일본은 기술력과 수입처 다변화로 맞섰다. 리튬 이온 배터리의 필수 원료인 리튬만 하더라도 일본은 44%를 칠레와 미국 등 다양한 나라에서 수입한다. 그 결과 일본의 리튬 중국 의존도는 2017년 42%에서 2022년 56%로 10%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반면 한국은 2017년 21%에서 2022년 64%로 중국 의존도가 세 배 늘었다.

신냉전이 불 댕긴 ‘脫중국’…공급망 재편 속 ‘세계 무역지도’가 바뀐다

냉전이 끝난 지 30여 년, 두 번째 냉전의 시기가 시작됐다. 잃어버린 가치를 되찾아야 한다는 서방과 자국의 이익을 우선하는 일부 국가들의 갈등 속, 세계의 무역지도도 변화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해 1∼6월 기준 미국이 가장 많은 상품을 수입한 국가는 2360억 달러(약 313조7620억원) 규모를 들여온 멕시코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정부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디리스킹(위험 제거) 전략을 대대적으로 내걸면서, 올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규모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5%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조는 미국의 우방인 유럽연합(EU)과 일본 등에서도 관측된다. 서방의 디리스킹 움직임에 저렴한 땅값·인건비로 중국을 택했던 글로벌 대기업들 역시 돌아서기 시작했다. 인도는 그 어부지리로 ‘새로운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다. 멕시코와 베트남, 말레이시아에 대한 투자도 늘었다.

일본, 캐나다와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구축 나선다

일본이 캐나다와 함께 북미향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외신에 따르면, 일본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산업상은 캐나다를 방문, 조나단 윌킨슨 캐나다 에너지천연자원부 장관과 배터리 공급망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협력 분야는 일본 국영 금속 에너지 안보 기구 등의 캐나다 니켈 및 리튬 탄광 개발 등을 포함할 것으로 알려졌다. 캐나다 정부는 리튬 공급 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보조금과 기타 지원을 일본에 제공할 방침이다. 일본의 공공 및 민간 기업은 주요 광물 추출 및 처리는 물론, 배터리 생산 등 전기차용 공급망을 캐나다에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일본의 캐나다 공급망 구축은 경제 안보 강화와 일본 전기차 제조사들의 북미 판매 확대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산업상의 이번 캐나다 방문에는 파나소닉, 프라임플래닛에너지&솔루션 등의 임원이 동행할 예정이다.

"우리도 반도체 키운다" EU 칩스법 발효…美·中과 테크 삼국지

미국과 중국 등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려는 총성 없는 전쟁에, 유럽도 '칩스법'을 통해 본격 가세했다. 자국 내 반도체 생산을 늘리기 위한 해외 각국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들의 향후 투자 계획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30년까지 민간과 공공에서 430억 유로를 투입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20%까지 끌어올린다는 내용의 신규 반도체법을 발효했다고 발표했다. 이미 글로벌 반도체 기업 중 유럽을 거점으로 삼아 투자를 계획한 곳도 적지 않다. 미국 인텔은 독일 마그데부르크에 170억 유로를 투자해 공장을 짓고, 기존 아일랜드 공장에도 45억 유로를 투자해 규모를 2배로 확대할 계획이다. 대만 TSMC도 독일 드레스덴에 공장을 지을 계획이다.

"테슬라, 태국 전기차공장 설립 검토…구글 등 7조원 투자 전망“

테슬라 등 글로벌 기업들이 태국에 약 7조원 규모로 투자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세타 타위신 태국 총리가 밝혔다.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하고 전날 귀국한 세타 총리는 테슬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로 등으로부터 향후 수년간 최소 50억달러(6조6천600억원)를 투자받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그는 "테슬라는 태국에 전기차 공장 건설을,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은 데이터센터 설립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기업별 투자 규모와 시기 등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지난달 태국 총리로 선출된 세타는 취임 이후 경제에 '올인'하는 행보를 펼치고 있다. 첫 해외 일정인 미국 방문 기간 그는 테슬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씨티은행, JP모건, 에스티로더 등 주요 기업들과 접촉했다.

 

ESG Reporting(ESG 공시)

나스닥, 기업과 투자자를 위한 ESG 데이터 및 보고 솔루션 출시

나스닥은 지속 가능성 데이터 수집, 측정 및 보고 플랫폼인 나스닥 Metrio, 포트폴리오 영향 투명성 솔루션 eVestment ESG Analytics 등 기업과 투자자를 위한 두 가지 새로운 ESG 데이터 제품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나스닥은 몬트리올에 본사를 둔 ESG 보고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메트리오를 인수했다. 새로운 플랫폼은 나스닥의 ESG 데이터 관리 솔루션 OneReport와 Metrio의 기술을 결합, 기업이 ESG 데이터를 수집, 측정, 공개 및 커뮤니케이션하고 ESG 프레임워크를 탐색하고 평가 기관, 감사인, 투자자 및 기타 이해 관계자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Vestment ESG Analytics는 자산 관리자가 포트폴리오의 ESG 영향을 계량화하고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독일의 꼼수?…자국 ESG지침 면제 기업수 늘리려 시도

독일이 자국의 기업을 유럽연합(EU) 지속가능성 보고에서 면제시키려는 시도를 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비판이 일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inancial Times)에 따르면, 독일 정부는 중소기업 기준을 직원 수 250명에서 500명으로 상향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독일 정부 관계자는 "기업 부담을 실질적으로 가능한 범위로 조정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독일의 이같은 행태는 다른 나라 기업들의 역차별을 초래할 수 있는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않다. 다만 유럽연합 내부에서는 "중소기업에게까지 엄격한 ESG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결국 경쟁력 악화만 가져올 뿐이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지난주 지속가능 보고서와 녹색분류법 등 ESG 규정에서 중소기업의 범위를 재검토할 계획임을 시사했다. 제안서 초안에 중소기업에 대한 기준을 인플레이션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고 명시한 것이다.

TNFD, 자연관련 위험 및 기회 보고 프레임워크 발표

TNFD(자연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가 최종 권고안을 발표했다. 최근 ISSB가 이미 TNFD 권고안이 향후 표준 설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임을 발표했고, CDP 또한 자사의 글로벌 공개 플랫폼을 TNFD프레임워크와 일치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1년 6월 TNFD 구성을 시작으로, 각 분야 40여 명의 구성원으로 이뤄진 태스크포스가 2년 동안 작업한 결과물이다. TCFD처럼 4가지 기둥 아래에 거버넌스, 자연관련 종속성을 평가하는 이사회 감독과 경영진의 역할, 전략 및 재무계획 등 14개의 권장 공시가 포함된다.

SEC, 그린워싱 조사에 따라 DWS 1900만 달러 벌금 부과

지난 2021년 DWS의 전 지속가능성책임자인 데지레 픽슬러의 내부 고발로 인해 시작된 SEC의 조사결과가 나왔다. SEC는 유럽 최대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도이체방크의 투자 부문 DWS에 대해 ESG투자 관련한 의혹으로 기소했으며, DWS는 1900만달러의 벌금을 부과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SEC가 자산운용사에 부과한 벌금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로, DWS의 CEO인 아소카 보어만이 사임하기도 했다. 이번 조치는 ESG 요소를 그들의 투자상품과 서비스에 통합했다고 주장하는 펀드에 대한 규칙(80% 이상 포함되어야 함)을 제정하는 가운데 나왔으며, 향후 관련 자산운용사들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ESG Investing(ESG 투자)

美 재무장관 "금융기관과 기업, 기후투자 늘려야 한다“

재닛 옐런(Janet Yellen) 미국 재무장관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상당한 비용이 들 것"이라며, "금융기관과 기업은 기후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욕 기후주간 행사 연설에서 옐런 장관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에 대응하기 위해 기후 및 청정에너지 프로젝트에 더 많은 민간자금을 투입할 것"이라며, "그린워싱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엘런 장관은 래리 핑크(Larry Fink) 블랙록(BlackRock) CEO, 노엘 퀸(Noel Quinn) HSBC 대표 등 금융계 경영진과의 대담에서 "금융기관의 탄소중립 공약이 일관성과 신뢰성을 증진해야 한다"며 "이러한 요소를 고려하지 않으면 성장하는 청정에너지 경제에 투자할 기회를 놓치고 좌초된 자산, 구식 비즈니스 모델에 매달릴 것"이라고 말했다.

미 SEC, 펀드 이름 뻥튀기 막는다…"AI 붙이려면 80%는 AI에 투자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개별 펀드 이름 규제를 강화한다. '성장'이나 '가치' 등의 이름을 내세워 투자자들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키거나, 이를 악용한 사기 마케팅을 벌이는지 들여다보겠다는 취지이다. 이에 따라, 미국 내 펀드의 4분의 3가량이 SEC 개정안에 따라 펀드 명과 보유 자산이 일치한다는 걸 증명해야 한다. 새 규칙이 내세운 기준치는 '80%'이다. SEC에 따르면, 펀드 이름에 'AI'가 붙어있다면, 자산가치의 80%까지 AI 관련 투자에 집행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SEC는 투자사에 최소 분기별로 펀드 포트폴리오 자산 비중을 검토하도록 하고, 만약 '80% 룰'을 벗어난 경우 90일의 유예기간을 주고 준수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투자회사가 자의적으로 '성장' 이나 '가치' 같은 단어를 해석할 여지도 없앴다. 개정안은 투자회사 담당자가 자신만의 '합리적인' 단어 정의를 미리 설정하고 투자자들에게 공지하는 방식이 금지된다. SEC는 이번 개정안이 미국 내 펀드 76%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한다.

'빌 게이츠 투자' ESS, 하니웰과 맞손…"에너지 저장 시스템 대중화 촉진“

빌 게이츠가 투자한 것으로 유명한 미국 배터리 제조업체 ESS가 미국 방산·우주항공 기업 하니웰(Honeywell)과 맞손을 잡았다. ESS와 하니웰은 26일 철흐름 배터리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기술 개발과 시장 대중화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적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하니웰은 ESS에 투자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투자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ESS 배터리는 전해질을 철과 소금, 물 등으로 만든 것이 특징이다. 리튬이온 배터리에 필요한 리튬을 사용하지 않아 공급망 위기로부터 자유롭다고 평가를 받는다. 또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전하고 가격도 저렴하다. ESS의 배터리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발전 부문에 활용될 전망이다. 전력 저장 시간이 최대 12시간으로 길기 때문에 간헐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에 적합하다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