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언스플래쉬
사진=언스플래쉬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의 석탄 의존도가 계속해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영국의 싱크탱크 엠버(Ember)의 분석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동남아시아에서 석탄 의존도가 가장 높은 국가로,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주로 석탄으로 충당하고 있다.

필리핀은 석탄 발전 비중이 2022년 59.1%에서 2023년 61.9%로 2.9%포인 증가하며 2023년에 폴란드, 중국, 인도네시아의 발전 비중을 추월했다. 전년 대비 석탄 발전량은 9.7% 증가한 6.5테라와트시(TWh)로, 5.2TWh(4.6%) 증가한 전력 수요보다 높았다. 다만, 가스와 기타 화석연료 발전량은 각각 0.8TWh(9.2%), 0.4TWh(18%) 감소했고, 풍력 및 태양광 발전은 0.9TWh(31%) 증가했다.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와 석탄 의존도가 폴란드와 중국을 추월했다. /엠버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와 석탄 의존도가 폴란드와 중국을 추월했다. /엠버

인도네시아의 2023년 석탄 발전 비중은 61.8%로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다. 인도네시아는 2022년 중국을 제쳤으며, 2023년에는 폴란드를 넘어섰다.

인도네시아는 2023년 전력 수요 증가분의 67%를 석탄으로 충당했다. 2022년에 비해 2023년 전력 수요는 17.1TWh(5.1%)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석탄 발전량은 11.5TWh(5.6%) 증가했다. 수요 증가분의 나머지도 대부분 가스(31%)가 차지하여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을 보였다. 

인도네시아는 석탄 발전 비중 뿐만 아니라 절대량에서도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2023년 인도네시아는 한국을 제치고 세계 5위의 석탄 발전국이 됐다. 세계 10대 석탄 시장 중 인도네시아는 2015년 11위에서 불과 8년 만에 5위로 올라서며 가장 빠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6년간 인도네시아의 석탄 발전량은 2015년 125TWh에서 2023년 217TWh로 74% 급증했다. 이는 연평균 7.1%의 성장률에 해당하는 수치다. 

전 세계 석탄 발전량 순위 /엠버
전 세계 석탄 발전량 순위 /엠버

반면, 역사적으로 석탄 의존도가 높은 중국과 폴란드에서는 풍력과 태양광의 성장으로 석탄의 비중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중국에서는 전년 대비 6.9%의 전력 수요 증가분 중 46%를 풍력과 태양광이 충족했다. 폴란드는 2023년 전력 수요가 2.8%(5TWh) 감소했는데, 석탄 발전량이 17%(22TWh) 감소한 반면, 풍력과 태양광 발전은 26%(7.3TWh)로 증가했다.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재생에너지 비율 아세안 평균보다 낮아

필리핀, 향후 재생에너지 발전 가능성은 높게 평가돼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아세안 지역의 다른 대부분의 국가보다 전력 구성에서 풍력 및 태양광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2015년 파리협정 이후 풍력과 태양광 발전량은 1.2TWh 증가에 그쳤으며 전체 재생에너지 성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에 불과하다. 바이오에너지 발전량은 2015년 9.8TWh에서 2023년 22TWh로 같은 기간 동안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바이오에너지가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의 40%를 차지했으며, 나머지는 수력(34%)과 지열(22%)이 차지했다.

필리핀의 재생에너지 비율은 3.2%로 인도네시아(0.3%)보다 앞서지만, 지역 평균인 4.4%나 선두인 베트남(13%)보다는 여전히 뒤처져 있다. 다만, 향후 재생에너지 산업의 발전 가능성에서는 인도네시아에 비해 높게 평가됐다.

미국 싱크탱크 글로벌에너지모니터(GEM)의 데이터에 따르면, 필리핀의 재생에너지 잠재 개발 용량은 99기가와트로 아세안 국가 중 가장 높았다. 필리핀의 풍력과 태양광 발전량은 2015년 1TWh 미만에서 2023년 3.7TWh로 증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