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기업 연합, 플라스틱 협상 4대 요구사항 제시
세계 굴지의 기업 21곳이 국제 플라스틱 협약 체결을 앞두고 각국 정상들에게 경고장을 보냈다.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 체결을 앞두고, 기업들이 직접 나서서 강력한 규제를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이번 공개서한은 '글로벌 플라스틱 협약을 위한 비즈니스 연합(Business Coalition for a Global Plastics Treaty)'이 주도했다. 250여개 글로벌 기업과 시민단체(NGO)가 참여하는 이 연합체는 이번 협상을 통해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협약 체결을 강력히 촉구했다.
글로벌 기업 연합, 플라스틱 협상 4대 요구사항 제시
이들은 공개서한에서 "자발적인 조치에만 기대 또다시 수십 년을 허비해서는 안 된다"며 "이번 회담이 플라스틱 오염을 근절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만큼, 반드시 구속력 있는 협약을 체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업들은 협약에 반드시 포함돼야 할 핵심 사항으로 네 가지를 제시했다. 우선 유해하거나 불필요한 플라스틱과 화학물질의 단계적 감축을 위한 전 세계 공통 기준 마련이다. 두 번째로는 포장재 등 플라스틱 제품의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업종별 친환경 설계 기준 수립이다.
세 번째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에 대한 공통된 정의와 핵심 원칙 수립이다. 마지막으로는 협정 사항의 단계적 강화를 위한 감독기관 권한 강화다.
서명 기업인 데카트론의 글로벌 최고 지속가능성 책임자 애나 터렐은 해외 미디어 에디에 "전 세계에서 매년 약 4억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이 중 절반은 일회용으로 설계됐다"며 "이런 상황은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들이 검증된 순환경제 솔루션을 확대할 수 있도록 구속력 있는 글로벌 규칙이 담긴 야심찬 협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미국, 국제 플라스틱 협약 지지 표명... 美 환경단체는 플라스틱 재사용 플레이북 발간
- 美정부, 국제 플라스틱 협약 지지…미국 화학협회 “제조업에 대한 배신”
- 미국 플라스틱 협약, 플라스틱 포장 폐기물 감축 로드맵 2.0 도입
- 화석 연료 없는 플라스틱 시대 열린다... A.P. 몰러 홀딩, 친환경 플라스틱 벤처 설립
- 미쓰비시의 바이오 플라스틱 공급망 전략…업스트림부터 다운스트림까지
- EU, 의류 폐기물에도 생산자책임제도 채택…‘패스트패션 업계 긴장’
- "플라스틱 쓰레기는 소비자 책임"...뉴욕주, 펩시코 상대 소송서 패소
- 엑손모빌, 텍사스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에 2800억 투자…캘리포니아 소송 때문?
-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한 새로운 정의…제 5차 정부간 협상위원회에서 마련되나?
- UN 플라스틱 협약, 합의 실패...부산 협상 폐막
- EU이사회, 포장재 폐기물 개정안 승인…플라스틱 재활용⋅재사용 의무 목표 제시
- 플라스틱 폐기물을 대체 연료로 전환하는 기업, 커벨 플라스틱
- 유니레버, 기후 목표 축소 후 지속가능성 부서까지 정리
- 이케아, 재활용 인프라 기업 3곳에 1조5000억 투자
- UN 플라스틱 협약, 8월에 스위스서 재협상
- 마스, 플라스틱 감축 박차… M&M·스키틀즈·스타버스트 포장 바꾼다
- 유니레버-벤앤제리스 충돌…'사회운동 독립성' 계약 두고 소송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