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투자 정책은 공무원 연금 위협
美 정치권 반(反) ESG 움직임 확산 … 글로벌 금융시장 영향 주목
미국 연기금 인디애나주 공공퇴직시스템(INPRS)이 블랙록의 ESG 투자 정책 사용 등을 이유로, 연금 운용에서 배제하기로 결정했다.
INPRS의 이사회는 블랙록을 대체할 수 있는 자산운용사가 충분히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새로운 자산관리사를 선정하기로 했다고 ESG투데이는 17일(현지시각) 전했다.
ESG 투자 정책, 공무원 연금 수익 위협해
이번 결정은 미국 공화당을 중심으로 한 반ESG 운동의 연장선에 있다. 인디애나주는 지난해 이미 연금 운용에 ESG 요소 반영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다니엘 엘리엇 인디애나주 재무관은 "INPRS 이사회는 공무원의 연금 보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블랙록을 대체하는 데) 투표했다"고 밝혔다. INPRS는 블랙록을 포함한 일부 자산운용사들이 기후 중심 투자 이니셔티브를 통해 석탄 시장을 조작하고 에너지 비용을 상승시켰다고 주장했다.
이번 결정은 엘리엇 재무관이 지난 6월 발표한 보고서의 후속 조치다. 당시 보고서는 블랙록의 넷제로 자산운용사 이니셔티브(NZAM) 참여가 "사회적이고 이념적인 이익을 증진하기 위한 비재무적 목적"이라고 지적했다.
美정치권 반(反) ESG 확산...블랙록, 투자 수익 관점 강조
블랙록은 최근 ESG와 관련해 여러 법적 분쟁에 휘말렸다. 공화당 주도의 주(州) 정부들은 블랙록이 뱅가드, 스테이트 스트리트와 함께 친환경 투자 명목으로 탄소 시장을 조작하고 에너지 비용을 인상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안티 ESG가 거세지자 블랙록도 이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래리핑크 회장은 최근 ESG라는 용어가 너무 정치화되어 다른 용어로 대체해서 사용하겠다는 언급을 한 바 있다.
클라이밋 액션 100+(CA100+)가 포트폴리오 기업들의 배출량 감축을 위해 고객 자산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새로운 전략을 도입하자, 블랙록은 CA100+ 참여를 국제 단위로 전환하며 지속가능성 투자 이니셔티브 참여를 축소했다.
블랙록은 CA100+에 보낸 서한에서도 "우리가 관리하는 자금은 고객의 소유이고, 다양한 투자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ESG도 투자 수익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자사 웹사이트의 '2030 순제로 성명서'를 통해 "우리의 역할은 실물 경제의 탈탄소화가 아닌 투자 위험과 기회를 분석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텍사스 등 공화당 11개주, 블랙록과 뱅가드 등 반독점법 위반 소송 제기
- 블랙록 등, SAF 인증서 구매…지속가능 항공 구매자 연합(SABA) 참여
- 블랙록의 남다른 실용주의…은퇴상품 대대적인 강조, 지속가능투자상품엔 소비자 선택권 제공
- 블랙록, 지속가능성 펀드 그린워싱…프랑스 규제당국에 신고
- 블랙록, 전환금융의 동력되는 보험사…99%가 전환 투자 목표 세워
- 블랙록, ESG와 멀어지나…지속가능성 주주제안 지지율 역대 최저치
- HSBC 연구, 글로벌 투자자들 왜 ESG를 점점 더 피하나
- 블랙록, 기후 스튜어드십 가이드라인 발간…ESG 주주행동주의 방향은
- 블랙록과 테마섹 탈탄소화 펀드, 탄소제거 스타트업에 1조원 투자 라운드 주도
- 블랙록에 퇴직연금 맡긴 아메리칸 항공, "연방법 위반"... 월가, 정치적 압박 속 연이은 NZAM 탈퇴
- 영국 최대 연기금, ESG 후퇴 이유로 미 SSGA로부터 280억파운드 회수
- 파나마 항구 인수한 블랙록, 미 공화당의 신뢰 얻을까?
- 국민연금, 기후변화 중점관리 선언했지만… 주주활동 ‘전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