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택소노미 간소화 권고안 표지/EU PSF

지난 5일 EU 집행위원회의 자문기구, 지속가능금융 플랫폼(Platform on Sustainable Finance, PSF)이 EU 택소노미 간소화 권고안을 담은 보고서를 공개했다.

EU 택소노미는 지속가능한 경제 활동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기업과 금융기관의 친환경 사업투자 유도를 위해 만들어졌다. 하지만 금융계에서 규정이 지나치게 복잡하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PSF는 피드백을 반영해 규정 간소화를 위한 권고안을 내놓았다.

 

EU PSF, 무해원칙 및 금융기관 KPI 기준 완화 방안 제시

EU택소노미 부합을 위한 단계별 프로세스/EU집행위원회

EU 택소노미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무해원칙(Do No Significant Harm, DNSH)’이다. 이는 특정 환경 목표에 기여하는 경제활동이라할 지라도, 다른 환경 목표에 심각한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한다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재생에너지 사업이 수자원을 오염시킨다면, DNSH 원칙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된다.

IMPACT ON(임팩트온) 유료 기사 전문은
회원가입+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