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EU, 희토류 공급망 다변화 박차…브라질도 시장 진입 본격화
- 트럼프, 그린란드·우크라이나 희토류 확보 추진

사진=백악관 X(트위터)
사진=백악관 X(트위터)

서방 국가들이 희토류 공급망을 다변화하여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덴마크령 그린란드의 광물 자원에 관심을 보이며 영토 인수 가능성을 거론했으며, 우크라이나와 희토류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명하기도 했다. 

10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미·중 무역 갈등이 재점화될 경우,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 다변화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했다. 현재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채굴량의 약 70%를 차지하며, 전 세계 매장량의 절반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의 희토류 공급은 희토류 가격을 낮추고, 다른 지역의 희토류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는 억제됐다. 

2024년 중국의 희토류 생산량은 27만톤으로, 5년 전보다 두 배 증가했다. 반면, 미국은 4만5000톤을 생산하며 큰 격차를 보였다. 미국은 약 190만톤의 희토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정제할 수 있는 시설이 거의 없다. 미국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국가가 채굴한 희토류를 중국으로 보내 정제해야 하는 상황이다. 

 

IMPACT ON(임팩트온) 유료 기사 전문은
회원가입+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