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배출을 줄이지 못해 지구 온도 상승을 막지 못할 경우, 국가 부채 또한 증가해 신용등급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케임브리지대, 이스트앵글리아대, 런던대 연구원은 전 세계 108개국을 대상으로 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및 기타 기후변화가 각국의 경제와 재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신용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탄소 배출량을 유지하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10년·30년·50년 변화 추세를 인공지능을 사용했다. 국가신용등급은 글로벌 신용평가사 S&P 분석결과를 사용했다.

연구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이 줄지 않고 현 추세를 유지(RCP 8.5)하면 2030년까지 63개국 신용등급이 평균 1.02단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100년에는 80개국 신용등급이 평균 2.48단계 하락했다.

지금 수준으로 탄소를 계속 배출할 경우 국가 신용등급은 2030년까진 평균 1.02단계, 2100년에는 평균 2.48단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 수준으로 탄소를 계속 배출할 경우 국가 신용등급은 2030년까진 평균 1.02단계, 2100년에는 평균 2.48단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선진국의 경우 2030년 영국은 AA에서 한 단계, 미국은 AA+에서 두 단계 강등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과 스웨덴은 AAA에서 세 단계 하락이 예상됐다.

2100년으로 시기를 늘리면 더욱 극단적인 하락세가 관측됐다. 중국·칠레·말레이시아·멕시코는 여섯 단계 강등, 미국·독일·캐나다·인도·페루·호주는 네 단계 강등할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등급 하락에 따라 각국이 연간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국채 이자도 어마어마했다. 최소 1366억8000만달러(약 154조6260억원)에서 최대 2050억2000만달러(약 231조9천391억원)로 추산됐다. 각국의 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추가로 들여야 하는 비용은 연간 358억~626억달러로 파악됐다. 신용등급이 떨어지면서 국가와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도 높아진 것이다.

한국의 신용등급은 3.09단계 떨어져 A를 받을 것으로 예측됐다. 20단계로 구성된 S&P 국가신용등급에서 세 번째로 높은 AA를 유지하고 있다. 여전히 투자 적격 단계에 해당하지만, 신용등급 하락에 따라 최소 14억6000만달러에서 최대 21억9000만달러의 국채 이자를 부담할 수도 있다.

다만, 파리협정에 부합하는 환경정책으로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로 제어할 경우 신용등급 강등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탄소를 감축할 수 있는 정책들이 시행되면 2100년까지 평균 0.65단계만 하락했다. 국가별 부채 부담 비용도 230억달러에서 340억달러로 대폭 줄어들었다.

연구진은 "탄소 배출이 줄지 않을 경우 부국이든 빈국이든, 열대지역이든 냉대지역이든 사실상 모든 국가가 피해를 입을 거라는 걸 보여준다“며 “기후위기는 재정·경제·정치·사회·환경 분야 안정성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는 최대의 시장실패 사례”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