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트럼프 행정부가 해상 시추 계획을 확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 내무부는 지난 18일(현지시간) 향후 5년간의 신규 해상 석유 및 가스 임대 프로그램 수립을 위한 공개 의견 수렴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행정부는 또한 알래스카 해안의 북극해에서 석유 시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멕시코만에서만 석유 시추를 추진하겠다는 계획과 대조적인 행보다.
그동안 해양 시추 계획은 미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진통을 겪어왔다. 트럼프 집권 1기 시절이던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 오바마 전 대통령의 조치를 번복하고 행정명령을 통해 북극과 대서양 등에서 연안 시추 작업을 확대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이는 72년 된 연방 법률인 ‘외대륙붕법(Outer Continental Shelf Lands Act)’에 기반해 이뤄져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되돌리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었다.
그러나 미 내무부 장관 더그 버검은 성명을 통해 정부의 석유 및 가스 생산 목표를 더욱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버검 장관은 "제11차 국가 외대륙붕 프로그램 개발 절차 개시는 미국의 에너지 주도권 확보를 향한 중요한 진전"이라고 말했다. 이어 "투명하고 포용적인 대중 참여 절차를 통해 책임감있는 해상 에너지 개발에 대한 행정부의 의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으며,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며 미국의 에너지 자립을 강화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멕시코만 해상 시추 계획은 유지…북극 외 새로운 해역 검토할 예정
내무부는 5개년 계획 수립을 위한 과정의 일환으로 45일간의 공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새로운 임대 입찰의 시기나 구체적인 위치는 명시하지 않았다고 로이터 통신은 보도했다.
내무부는 북극 및 기타 대륙붕 외곽 지역 등 새로운 해역을 시추 가능 지역으로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바이든 행정부 시절 계획된 기존 멕시코만 임대 일정은 지속한다고 밝혔다.
내무부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기준 이 지역의 해외 임대를 통한 생산량이 국내 석유 생산량의 약 14%, 국내 천연가스 생산량의 2%를 차지하여 70억달러(약 10억원)의 연방 세수를 창출했다.
또한, 외대륙붕은 상당한 양의 미발견 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미 내무부의 최근 평가에 따르면 석유는 평균 687억9000만배럴, 천연가스는 229.03조 입방피트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이번 발표에 대해 미국 석유 협회(API) 업스트림 정책 담당 부사장인 홀리 홉킨스(Holly Hopkins)는 "미국의 방대한 해상 석유 및 천연가스 자원을 활용하고 연방 임대에 대한 친미적 에너지 접근 방식을 되살리기 위해 조치를 취한 버검 장관과 행정부에 박수를 보낸다"라고 전했다.
반면, 해양보호 환경단체인 오셔나(Oceana)는 공식 성명을 통해 “미국인들은 해안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보호해야 한다는데 전적으로 동의한다”라고 의견을 밝혔다. 아울러 지난 10년간 390개 이상의 지자체, 6만개의 기업, 50만 가구의 어촌 공무원 2200명이 자국 해역에서의 해상 시추 활동에 반대해왔다며 신규 임대 계약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 ‘드릴, 베이비, 드릴’ 핵심, 美 내무부 장관 지명자…“에너지 생산 제한은 안보 위협”
- 바이든, 미 대서양·태평양 해역서 신규 석유 시추 금지
- 노르웨이, 53개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 허가…북극 진출 계획도 있어
- 노르웨이 정부, 반대 의견 압력으로 심해 채굴 중단
- 글로벌 자산운용사 BNP파리바, 석유·가스 채권 신규 투자 중단
- 머스크의 美정부 구조조정, 트럼프 에너지 정책에 제동
- 트럼프 '드릴 베이비 드릴'에, 석유 CEO들 '속도 조절' 시그널
- 미국석유협회, 파리협정 탈퇴 유무 관계없어...바이든 기후정책 폐기 한목소리
- 美 연방정부, 화석연료 승인 절차 대폭 단축…청정에너지는 배제
- 트럼프 행정부, 美 국가기후평가 참여자 전원 해촉
- 美, 아시아 국가에 알래스카 LNG 판매 독려...관세 협상에 도움될까
- 최초 공해조약 내년 발효 예정… “국제 해양보호 첫 법적 기반 마련”
- 美 코노코필립스, 알래스카 북극 유전 탐사 확대… 윌로우 인프라 재활용해 장기 생산성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