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2030년까지 연간 50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지하에 저장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역내 석유·가스 생산 기업들에게 탄소저장시설 구축 의무를 부과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산업탄소관리전략(Industrial Carbon Management Strategy)과 청정산업계획(Clean Industrial Deal)의 일환으로, EU의 핵심 기후정책인 '넷제로 산업법(Net-Zero Industry Act)'에서 설정한 탄소 저장 목표를 본격 이행하기 위한 목적이다.
유럽집행위(EC)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위임규정(Delegated Regulation)과 의무 적용 대상 및 기업별 의무 저장 비율을 명시한 이행결정(Commission Decision)을 채택했다고 공식 성명을 통해 밝혔다.
의무 대상에 포함된 석유·가스 생산 기업들은 EU 탄소포집 및 저장지침(CCS Directive)에 따라 2030년까지 지질학적으로 허가받은 부지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할 수 있는 상업용 저장설비를 구축해야 한다.
이 저장소는 다른 산업의 기업들이 포집한 탄소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용도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탄소 저장시설뿐 아니라 탄소 포집·운송 인프라는 넷제로 전략 프로젝트(Net-Zero Strategic Project)로도 지정돼 간소화된 인허가 절차 등 EU 차원의 정책적·재정적 우선 지원도 받을 수 있다.
관련기사
- 美·英은 안 하고 있는데… EU, 바젤Ⅲ 은행 규제 또 미루기로
- EU 기업 통합보고서, ESRS 요건과 상당한 괴리
- EU 보고서, 극한 이상기후로 유럽 농업분야 연간 44조원 손실
- EU-영국, ETS 상호 연계 추진 합의
- EU옴니버스 패키지, 보험업계 친환경 전환 후퇴 초래할것…셰어액션 보고서
- EU, 데이터 센터 물 사용량 제한 논의…농업용수도 해당
- EU, 바이오솔루션 전략산업 지정…기후·순환경제 전환에 입법 시동
- EU 기업, 기후 로비 지출 20% 급증
- EU,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근접…기후 공약 정당성 확보하나
- EU 삼림벌채 규제 또 연기되나…11개국 "시행 불가능 규제" 완화 요구
- EU, 탄소국경세 대상 대폭 축소…전체 수입업체 10%만 적용 추진
- EU 탄소제거 인증체계, "국제기준 미달…기후목표 역행 우려”
- 미 환경청, 텍사스에 CCS 허가권 부여 추진
- EU, 청정산업 보조금 확대했지만…“보조금보다 지분 투자하라”
- 英 스타트업 누아다, 저비용ㆍ저에너지 CCS기술 상용화
- CCUS·탄소상쇄 시장, 2050년까지 수천조원 규모로 폭발적 성장...“기후 전략의 쌍두마차”
- 토지 소유주 92% 동의에도 제동…미국 최대 CCS 사업, 위헌 논란 불거져
- 고배출 산업, CCS로 전환 가속…시멘트·철도까지 탈탄소 실증 확대
김환이 editor
hani@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