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이 골드만삭스와 BNP파리바와 함께 하이브리드 채권 발행을 준비하고 있다. 다자개발은행이 민간 자본 접근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해 처음 도입한 방식을 다시 활용하는 것이다.
27일(현지시각)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번 조달 규모는 5억~10억달러(약 6970억~1조3940억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키스 베르너 AfDB 자본시장·재무운영 매니저는 “이르면 9월 발행을 추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첫 하이브리드 채권 때와 마찬가지로 주관사는 골드만삭스와 BNP가 맡는다.
하이브리드 채권은 만기가 사실상 없고 이자 지급도 조건부인, 채권과 주식의 성격을 동시에 가진 자본 조달 수단이다. 발행 기관은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아 대출 여력을 넓힐 수 있고, 투자자는 일반 채권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발행 기관이 부실해질 경우 손실을 먼저 부담해야 한다는 위험이 따른다.
관련기사
- 혼합금융 돌파구… ‘MDB 보수성·바젤 규제’ 넘어야
- 씨티·SMBC, 공공·민간 자금 결합한 ‘혼합금융’ 확대
- 브라질, ‘열대우림 지킴이’로 월가에 기대 건다…180조원 펀드 구상
- 86개 글로벌 투자자 연합 NZAOA, 연 1.3조달러 기후금융 유치 로드맵 발표
- 중국, 브라질 TFFF 참여 의사 재확인…신흥국 주도 기후 재정 전환 신호탄
- 영국, 고탄소산업 전환금융 시범사업 착수…“녹색금융으로 370조원 성장 이끈다”
- 호주 “지속가능금융 협력, 담합 아냐”…금융사 공동행위 첫 공식 승인
- 도이체방크, 탄소예산·보상 연계 등 전환 전략 강화…올 상반기 지속가능금융 44조 실적
- 덴마크, 첫 ‘유럽 그린본드 기준’ 적용 국채 발행… 연말까지 2조원 조달 예정
- 월가, 기후금융 대신 에너지 안보·AI 성장 논리로 선회
- 이베르드롤라, EU GBS 첫 적용 그린 하이브리드본드 발행
유인영 editor
inyoung.yoo@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