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그룹(Citigroup), 스토모미쓰이은행(SMBC) 등 글로벌 주요 은행들이 ‘혼합금융(블렌디드 금융)’ 시장 확대에 본격 나서고 있다.
혼합금융은 개발도상국의 채무를 재융자함으로써 절감한 정부 재정을 환경·사회 분야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구조다. 다자개발은행(MDB) 등 국제 금융기관의 보증을 통해 민간 투자 리스크를 완화하고, 이를 통해 유입된 민간 자본을 기후 변화 대응,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개도국 인프라 투자 등에 활용한다.
이 구조는 지난해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29차 유엔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9)에서도 주요 기후 재원 수단으로 주목받았다. 당시 각국은 연간 3000억달러(약 426조원)의 기후재원을 조성하기로 합의했으며, 혼합금융은 그 이행 수단 중 하나로 꼽혔다.
블룸버그는 22일(현지시간) 글로벌 개발원조 축소와 투자 여건 악화에도 불구하고, 시티그룹, SMBC, BNP파리바, 미쓰비시UFJ파이낸셜 등 주요 은행들이 최근 3년 간 혼합금융 시장에서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고 전했다.
SMBC는 연간 7~8건의 혼합금융 거래를 진행하고 있으며, 관련 수익을 매년 10%씩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SMBC 아시아 지역 구조화금융 책임자인 잔 소(Jeanne Soh)는 “블렌디드 금융 시장이 최근 핵심 성장 영역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코발트 쥔 콩고, 미중 자원 갈등 흔드는 핵심 플레이어로
- 英 로이드, 크레딧 금융 플랫폼 가동...VCM–ETS 경계 흐려진다
- 美, 글로벌 개발금융 개혁 약화 시도…UN 문서에서 드러나
- 프랑스, 파리협정 기반 '무결성 탄소크레딧 헌장' 제정…글로벌 기업 17곳 동참
- IFC, 4.5조달러 신흥시장 투자 기준 16년 만에 손본다…FI 리스크도 반영
- 골드만삭스, ESG투자에 석유·가스주 고려 주장
- COP개최국 브라질, 미국발 '트리플 네거티브' 경고
- 이탈리아 스남, 2조8000억원 규모 '넷제로 연계채' 발행
- ASCOR, 국채 기후 리스크 분석의 ‘골드 스탠다드’ 노린다
- GCF, 역대 최대 규모 기후프로젝트 승인…17개 사업에 1조6000억원 집행
- 혼합금융 돌파구… ‘MDB 보수성·바젤 규제’ 넘어야
- 골드만·BNP, AfDB 하이브리드 채권 발행 주관…민간 자본 조달 확대
- 전환금융, 정작 필요한 신흥국으로는 안 가… 블랙록, 혼합금융으로 돌파구 찾는다
김환이 editor
hani@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