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탄소 인증기관 '골드 스탠다드(Gold Standard)'가 항공산업의 탄소상쇄 제도인 코르시아(CORSIA, 국제항공 탄소상쇄 및 감축제도) 기준을 처음으로 충족한 배출권을 발행했다고 5일(현지시각) 카본헤럴드가 밝혔다.
이 배출권은 항공사들이 사용할 수 있는 첫 번째 ‘코르시아 적격’ 탄소배출권이다. 이는 전 세계 항공사들이 국제 기준에 맞는 크레딧을 구매해 탄소중립 목표를 이행할 수 있는 새로운 공급 채널이 열렸다는 의미로 평가된다.
말라위 청정 쿡스토브 프로젝트, 150만 크레딧 확보
이번에 인증을 받은 프로젝트는 아프리카 말라위의 ‘청정 요리 프로그램(Clean Cooking Program)’이다. 프로젝트 개발사 헤스티안(Hestian)은 현지 농가에 에너지 효율이 높은 조리기구(쿡스토브)를 보급해 나무 연료 사용량과 실내 오염을 줄였다. 헤스티안은 개도국, 특히 말라위나 르완다 등 아프리카 남부지역에서 전통적인 조리방식(나무를 쌓아 불을 지피는 방식) 대신, 쿡스토브로 교체하는 사업을 펼쳐온 조직이다.
관련기사
- EU, 2040년 온실가스 90% 감축 합의… '국제 탄소크레딧' 열며 산업 부담 완화
- 유엔, 글로벌 탄소시장 첫 공식 기준 승인…공신력 있는 감축실적 확보 길 열렸다
- 글로벌 기후 연합, 기업용 '탄소제거 실무 가이드' 공개
- 브라질, 탄소시장특별사무국 출범...글로벌 탄소시장 주도권 ‘정조준’
- MS, 탄소 제거 속도 높인다…‘암석 풍화’ 기술 기업 UNDO에 추가 투자
- ICVCM, 기술 기반 탄소 제거 방법론 승인…자발적 탄소시장 전환점 맞나
- 싱가포르, 세계 첫 ‘친환경 유류세’ 도입… 항공료 최대 32달러 오른다
- 【ESG 동향】임팩트온, 라운드테이블 개최…불확실성 관리를 위한 기후 시나리오 분석
- AI 열풍에 탄소 크레딧 '공급난'…빅테크, 직접 생산까지 나섰다
- 중국 ETS, 국가 배출량 60% 규제 체제로 확대…탄소가격 상승 압력 본격화
이재영 editor
lee_jaeyoung@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