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UN)이 파리협정 제6.4조에 따른 글로벌 탄소시장 제도(Paris Agreement Crediting Mechanism, PACM) 운영을 위한 첫 공식 감축 산정 기준을 승인했다. 이번 결정은 메탄 감축을 대상으로 한 탄소배출권 발급의 산정 기준이 첫 승인된 방법론 사례로, 국제 탄소거래 시장의 본격 가동을 예고한다.
로이터통신은 30일(현지시각)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산하 제6.4조 감독기구가 매립지 메탄가스 감축 프로젝트에 적용할 탄소 크레딧 산정 방법론을 공식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방법론은 매립가스 포집·소각 또는 에너지 회수 사업이 탄소배출권을 발급받는 절차와 기준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감독기구 의장 “탄소감축 현실화 첫걸음”…메탄 감축 프로젝트 산정 기준 확정
새 기준은 프로젝트의 감축 성과가 지속될수록 배출권 발급량이 점차 줄어드는 ‘하향조정’ 구조를 도입했다. 다만 감축 수준에 따라 발급량의 감소 속도도 달리 적용되는 방식이다. 단순 소각 사업은 감축효과가 낮아 감축 크레딧이 빠르게 줄고, 메탄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고효율 프로젝트는 완만히 축소되는 차등 설계를 적용했다.
관련기사
- NDC 1%의 열쇠, 메탄 감축…규제·기술·시장 통합 논의 본격화
- 브라질, 탄소시장특별사무국 출범...글로벌 탄소시장 주도권 ‘정조준’
- JP모건·카본디렉트, ‘탄소감축+생물다양성’ 통합 가이드 제시
- ICVCM, 기술 기반 탄소 제거 방법론 승인…자발적 탄소시장 전환점 맞나
- 탄소시장 ‘조용한 부활’…탄소크레딧 프로젝트 상반기 14조원 투자
- 이중 계산 막고 신뢰 높였다…골드 스탠다드, CORSIA 인증 배출권 첫 승인
- EU·중국, 브라질 주도 ‘탄소시장 통합연합’ 합류…글로벌 규제시장 판도 흔든다
- COP30 개막…화석연료 전환 로드맵·기후재원 1조3000억달러 논의 본격화
- 【ESG 동향】임팩트온, 라운드테이블 개최…불확실성 관리를 위한 기후 시나리오 분석
- 한국, ‘탈석탄동맹’ 공식 합류…신규 석탄발전 중단·40기 폐쇄 확정
- AI 열풍에 탄소 크레딧 '공급난'…빅테크, 직접 생산까지 나섰다
- 중국 ETS, 국가 배출량 60% 규제 체제로 확대…탄소가격 상승 압력 본격화
고현창 editor
jameskhc@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