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일본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 나온 대미 투자액 5500억달러(약 810조원)를 활용해, 향후 10년 내 최대 10기의 대형 원자력발전소를 직접 구매ㆍ소유할 계획인 것으로 20일(현지시각) 알려졌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확대로 인한 전력 부족 우려와 제조업 부흥 전략이 맞물린 데 따른 것으로, 양국 간 전략적 협력이 사실상 ‘원전 패키지 딜’ 형태로 부상하는 모습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 에너지부 장관 비서실장 칼 코(Karl Koe)는 미 테네시에서 열린 에너지 컨퍼런스에서 일본 측 자금이 미국 내 원전 건설 재개에 동원될 것임을 확인했다. 

일본은 지난 10월 미국과 관세협상 과정에서 무역·안보 협력 확대의 일환으로 5500억달러(약 3320억 달러 규모의 미국 내 투자 포함)의 에너지 프로젝트 투자를 약속한 바 있다. 투자 대상에는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의 AP1000 대형 원자로,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SMR), 송전망 확충, 가스 파이프라인 등이 포함돼 있다.

코 비서실장은 “원래 정부가 민간 시장에 개입하는 일은 있어서는 안 되지만, 지금은 국가 비상사태”라며 “AI 데이터센터와 제조업 전력난을 해소하려면 대형 원전 건설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IMPACT ON(임팩트온) 유료 기사 전문은
회원가입+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