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일본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 나온 대미 투자액 5500억달러(약 810조원)를 활용해, 향후 10년 내 최대 10기의 대형 원자력발전소를 직접 구매ㆍ소유할 계획인 것으로 20일(현지시각) 알려졌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확대로 인한 전력 부족 우려와 제조업 부흥 전략이 맞물린 데 따른 것으로, 양국 간 전략적 협력이 사실상 ‘원전 패키지 딜’ 형태로 부상하는 모습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 에너지부 장관 비서실장 칼 코(Karl Koe)는 미 테네시에서 열린 에너지 컨퍼런스에서 일본 측 자금이 미국 내 원전 건설 재개에 동원될 것임을 확인했다.
일본은 지난 10월 미국과 관세협상 과정에서 무역·안보 협력 확대의 일환으로 5500억달러(약 3320억 달러 규모의 미국 내 투자 포함)의 에너지 프로젝트 투자를 약속한 바 있다. 투자 대상에는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의 AP1000 대형 원자로,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SMR), 송전망 확충, 가스 파이프라인 등이 포함돼 있다.
코 비서실장은 “원래 정부가 민간 시장에 개입하는 일은 있어서는 안 되지만, 지금은 국가 비상사태”라며 “AI 데이터센터와 제조업 전력난을 해소하려면 대형 원전 건설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셰브론, 텍사스에 AI 데이터센터 전용 발전소 건설…가스 과잉·AI 수요 맞물렸다
- AI 전력폭증에 빅테크 ‘넷제로’ 압박… 가스·원전·CCS로 에너지 조달 전면 재편
- 【ESG Deal】브룩필드와 카메코, 미국 정부와 800억달러 규모의 원전 계약
- 구글·넥스트에라, 아이오와 원전 재가동 추진…AI 전력 수요로 원전 부활
- 美트럼프, ‘AI 전력망 패스트트랙’ 추진…전력 인프라 대개편 시동
- 美 육군, 마이크로원자로 배치 추진…원자력 에너지주 급등
- 듀크에너지, 원전 신설·석탄 발전 연장 검토
- 美, 2050년까지 원전 발전량 63% 확대…SMR로 전력수요 대응
- 유럽투자은행, 40년 만에 원전 투자 재개 검토…유럽 SMR 기업 첫 대상
- 핵폐기물도 다시 연료로…미 오클로, 최초 민간 17억달러 시설 추진
- 마이크로소프트, 세계원자력협회 첫 빅테크 회원사…데이터센터 전력·탄소중립 전략에 원전 본격 활용
이재영 editor
lee_jaeyoung@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