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글로벌 기후 의제에 거리를 두는 분위기 속에서도 미국 기업들의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참여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현지시각) 로이터가 참석자 명단을 분석한 결과, 올해 회의에는 포춘 100대 기업 임원 60명이 COP30이 열린 브라질 벨렝을 찾았다. 지난해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회의에 참석자 수인 50명보다 늘어난 수치다. 일부 기업은 공식회의 전 상파울루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사전 행사에도 참여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옥시덴탈 페트롤리움, 제너럴 모터스, 씨티그룹 등 미국의 주요 기술·에너지·제조·금융 기업은 잠정 참석자 명단에 포함됐다.
포춘 100대 기업, COP29보다 COP30에 더 많은 인력 보내
미국 최대 석유기업 엑슨모빌의 최고경영자(CEO) 대런 우즈도 미국 기업, 지방정부·도시 지도자들과 함께 사전 행사에 모습을 드러냈다.
기업 임원들은 기후 위기로 인해 공급망과 재무 리스크가 커지는 상황에서 기후 논의에서 빠지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다. 펩시코 최고지속가능책임자(CSO) 짐 앤드루는 “사업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참여하고 있다.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그는 “농부들이 계속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워커스 감자칩과 퀘이커 오트 등 식품사업이 자사의 주요 수익원이라고 언급했다.
COP30에는 탄소 시장을 포함해 저탄소 에너지 전환으로 수혜가 예상되는 미국의 중소기업들도 다수 참여했다. 탄소크레딧 플랫폼 패치(Patch)의 CEO 브레넌 스펠러시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왔다”며 “주요 미팅의 상대방은 영국, 프랑스, 독일의 지속가능성 책임자들”이라고 말했다.
위 민 비즈니스(We Mean Business) 연합 CEO 마리아 멘딜루체는 “미국 기업의 참석 자체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미국은 글로벌 기후·에너지·산업정책에서 결정적 역할을 한다. 정치가 불안정하더라도, 미국 기업과 지방정부의 참여는 세계 최대 경제가 에너지 전환의 경쟁력, 혁신, 안보, 공급망 리스크를 인식하고 있음을 시장에 신호로 보낸다”고 평가했다.
“미국 청정에너지 관련 일자리, 전체 노동시장보다 3배 빠르게 증가”
미국이 상정했던 기후공시 규제가 철회됐음에도, 전 세계 기업의 기후전략 공개는 확대되는 추세다. 세계경제포럼(WEF) 지구시스템과 열대우림동맹을 총괄하는 잭 허드는 “미국의 정치적 수사와 상관없이 시장은 움직이고 있다. 정책입안자들은 이미 방향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메릴랜드대 글로벌지속가능센터(CGS)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연방·비연방 정책을 모두 고려할 경우 2035년까지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은 35% 감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상당 부분은 기업의 감축 활동이 주도하고 있다.
전 미국 환경보호청(EPA) 청장이자 ‘아메리카 이즈 올 인(America Is All In)’ 공동의장인 지나 매카시는 “뉴스 헤드라인과 달리 민간 부문은 여전히 청정에너지에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미국의 청정에너지 관련 일자리는 전체 노동시장보다 3배 빠르게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국제상공회의소(ICC) 앤드루 윌슨 정책 부총장은 “올해 미국 기업들의 기후정책 참여도에서 눈에 띄는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이번 회의 참석 규모에서도 그대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그는 “산업계 전반에서 극심한 기상이변으로 인한 비용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