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사베이)
(=픽사베이)

미국의 석유와 가스 산업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후 공시 관련 로비를 강화하고 있다. 

FT는 2일(현지시각) 보도에서 화석연료 기업의 시도를 “바이든 정부의 환경 정책에 대한 반발로, 기후변화 공시 의무화 규정을 희석하기 위한 로비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FT는 “로비 공시(Senate Lobbying disclosure) 보고서에 따르면, SEC의 기후 금융공시 의무화 조치로 인해 개별 기업과 단체가 SEC에 압박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유회사인 필립스66(Phillips 66)과 유전 서비스 그룹인 베이커 휴즈(Baker Hughes)는 올해 처음으로 SEC에 기후공시 관련 로비를 시작했다. 

세계 최대 독립 탐사 및 생산 기업 코노코필립스(Conocophillips)와 영국 거대기업인 BP는 각각 7년과 5년 동안 SEC와 관계가 없다가, 올해 다시 로비를 시작했다. 

BP는 규제 당국에 서한을 보내 “새로운 규칙은 기업이 스스로 자사 배출량을 계산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론을 결정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석유연구소(Americal Peteral Institute, API)는 “SEC와 대화를 하고 있으며, 우리는 10-k 보고서(사업보고서)에 기후 공시를 담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석유 메이저 셰브론(Chevron)은 지난 6월 SEC에 서한을 보내 “새로운 기후 관련 공시는 어떤 것이라도, 기업을 규제하는 문서에 제출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석유 화학기업의 기후 공시 의무화를 반대하는 움직임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미국의 영향력있는 환경단체인 세레스(Ceres)의 앤드루 로건 석유·가스 부문 수석이사는 “기후변화 대응에서 자칭 리더라고 밝힌 기업들이 같은 사안에 대한 상식적인 공시 규정을 차단한다는 사실을 알면 실망스러울 것이다”라고 의견을 전했다. 

그는 “SEC는 기업들이 탄소 배출량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공개하도록 요구하는 아주 기본적인 지침을 정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친환경 정부를 표방하는 조 바이든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SEC의 기후보고 의무화 방안도 강력하게 추진중이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 재닛 옐런 재무장관에게 SEC가 소속된 금융안정감독위원회(FSOC) 위원들과 함께 “금융 안정 리스크를 줄일 계획을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도 11월에 있을 COP 26에 미국의 기후보고 규정을 전달해야 한다는 압박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겐슬러 위원장은 지난 28일(현지시각) 유엔 PRI 웨비나에 참석해,”연말까지 기후 리스크 정보공개 규칙을 마련하려고 한다”며 “기후 공시를 10-K(사업보고서)에 포함할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공급망을 포함한 스코프3(Scope)까지 공개하게 할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