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웰스 파고(Wells Fargo), 캐나다 왕립은행(Royal Bank of Canada) 등 북미 주요 19개 은행들이 기후 위험 관리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뭉쳤다.  

19개 은행은 금융서비스 업계에서 위험 관리 원칙에 초점을 맞춘 비영리 전문협회인 위험관리협회(RMA) 산하에 기후 위험 컨소시엄을 설립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피프스 서드 뱅크, 헌팅턴 내셔널 뱅크, 키뱅크, M&T 뱅크 코퍼레이션, MUFG 유니언 뱅크, 캐나다 국립 은행, 레전스 뱅크, 로열 뱅크 오브 캐나다 실리콘 밸리 뱅크, 그 모기업인 SVB 그룹, 트루이스트 등이 참여한다. 

최근 미국 은행 임원진들은 기후와 관련된 위험을 은행이 식별할 수 있도록 평가 범위를 확대하자고 요구하고 있다. 이 연합은 기후위험 관리를 위한 일관된 프레임워크와 표준을 개발할 계획이다.

연합의 의장을 맡고 있는 뱅크오브아메리카의 기후위험 임원 오바시는 “기후변화는 말 그대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광범위한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다른 위험 영역과 마찬가지로 기후위험이 은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이로 인한 피해는 어떤지 정확히 파악한 후 이를 잘 관리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이 의무”라고 말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도 정부 부처가 주도해 은행의 기후위험 관리 기준을 만들고 있다. 미국 통화감독청(OCC)는 지난해 12월 자산 규모가 1000억달러(119조원) 이상인 대형은행을 위한 기후관련 재무 리스크 식별 및 관리 원칙 초안을 공개한 바 있다. OCC는 발표한 원칙을  은행의 기존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에 통합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수 싸움에서 밀리면, 기후위험 관리 주도권을 정부부처에 빼앗기는 셈이 되는 것이다. 

관련기사: 美 OCC, ‘기후 금융 리스크 평가 지침’ 마련 중

RMA의 낸시 포스터 협회장은 “은행은 규제기관에 대응하는 수동적 역할에 머물러 있기보다 능동적으로 주도해야 한다”며 은행이 탄소중립 경제 전환의 선두에 서야 한다고 설명했다.

포스터는 “정의로운 이슈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의무가 있다”며 “코로나19 팬데믹에서도 은행은 기업과 지역사회에 자금을 제공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탄소중립, 보다 지속가능한 경제로의 전환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역사회, 시장, 소비자 선호도 및 규제에 영향을 미칠 물리적 위험, 전환 위험 및 기회 등 기후변화와 관련된 리스크를 관리하고 완화하는 것이 선행 과제라고도 말했다. 덧붙여 은행이 기후위험에 노출되는 자산을 판별하는 것 뿐 아니라 고객이 배출하는 탄소 데이터까지 수집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탄소중립 경제 전환에 악영향을 미치는 고객을 분류해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것도 은행의 역할 중 하나라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금융권이 뭉친 바 있다. 지난 12월 은행연합회와 금융투자협회, 생보협회, 손보협회, 여신협회는 공동으로 금융회사의 녹색 금융 활성화와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금융권 녹색금융 핸드북’을 발간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5개 금융협회, ‘금융권 녹색금융 핸드북’ 발간

또 지난 12월 8일 금융위원회가 개최한 ‘녹색금융 추진 태스크포스 전체 회의’에서도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에 금융권과 협의하겠다는 발언이 나오기도 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사와 협력해 상반기 기후경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하반기에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를 시범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 회의에서는 금융권이 “녹색금융과 기후리스크 관리의 현장 안착을 위해서는 금융당국과 민간의 양방향 소통이 중요하므로 구체적인 방법론을 업계와 공유하며 같이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건의하기도 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대형 은행들은 녹색 경제 전환 과정의 선두에 서려고 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또 은행의 역할을 매우 보수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은 녹색 전환 선두에 설 것이 아니라 화석연료 발전 사업 등 모든 합법적인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본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