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의 신용등급이 줄줄이 떨어지는 가운데, ESG 기준도 흔들리고 있다. ESG의 핵심이 지속가능성인지, 윤리인지 논의가 촉발되며 러시아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옳은 일인지 그른 일인지에 대한 갑론을박이 벌어지면서다. 한편, ESG 투자자는 기피했던 방산업에 대한 기준도 바뀔 수 있다는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신용평가사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마자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일제히 강등했다.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제재로 러시아 경제가 위기를 맞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다.
피치는 러시아를 투자적격등급보다 5단계 낮은 ‘B’로 강등하고 신용등급이 더 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부적격’ 전망을 부여했다. 피치는 러시아의 ESG 거버넌스를 언급하며 “정치 안정과 권리, 법치, 제도 및 규제 품질과 부패 통제에 대한 ESG 관련성 점수는 가장 낮다”며 “정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약한 권리, 약한 제도적 역량, 법치의 불균등한 적용 및 높은 수준의 부패로 WBGI(World Bank Governance Indicators)에서 29번째로 낮은 점수를 부여받기도 했다”며 강등 이유를 설명했다.
무디스 또한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Baa3′에서 정크등급인 ‘B3’으로 낮추겠다고 밝혔다. 무디스는 “서방의 강력한 경제 제재로 러시아의 국가 부채상황에 차질이 발생할 리스크가 커졌다”면서 추가적인 하향 조정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S&P 또한 ‘BBB-’에서 정크수준인 ‘BB’로, 지난 3일엔 디폴트(채무불이행) 직전 수준인 ‘CCC-’로 강등했다.
국가의 ESG 거버넌스에 대해선 신용평가사들의 의견이 합치되고 있지만, 러시아 기업에 대한 ESG 투자 의견은 갈리는 모양새다. 모닝스타에 따르면 ESG 펀드의 14%가 전쟁 직전까지도 러시아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러시아 국영 에너지기업인 가즈프롬과 로스네프트, 러시아 최대 상업은행 스베르방크가 담겼다. 러시아 국채도 보유하고 있어 러시아의 재정을 조달하는데 도움을 줬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