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 펠릿을 태워 전기를 만드는 바이오매스 생산자들이 산림 보호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EU 집행위원회의 정책을 완화하기 위해 로비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에서도 재생에너지 중 바이오매스가 차지하는 비율은 40%로, 이를 둘러싼 갑론을박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5월 EU 집행위원회는 중장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12개 법안 입법 패키지인 ‘핏 포 55(Fit for 55)’에서 숲에서 생산되는 바이오매스에 대한 정부 지원을 2026년까지 철폐하기로 했다. 또 ‘높은 생물다양성을 가진 산림은 명백히 인간 활동에 의해 훼손되어선 안 된다’는 규정을 삽입해 일부 산림에서 목재를 위한 벌채 금지를 유도하는 조항도 포함됐다. 다만, 바이오에너지 비중은 2018년 8.1%에서 2050년까지 22.2%로 두 배 이상 늘리기로 했다.
이에 미국 펠릿 산업협회는 바이오매스 자원 확보 불가지역을 설정한 EU 집행위원회의 개정안을 반대하는 서한을 보냈다. 펠릿 협회는 “‘인간 활동에 의해 훼손되어선 안 된다’라는 문구를 ‘자연 보호 목적을 방해해선 안 된다’로 완화해달라”는 내용을 담았다. 벌채는 가능하되, 과도한 벌채를 금지한다는 정도로 의도를 완화해달라는 것이다.
정책 무결성을 위한 캠페인 그룹(Partnership for Policy Integrity)은 “펠릿협회는 생물다양성이 높은 원시림과 산림을 계속 벌목하길 원하기 때문에 서한을 보낸 것”이라며 “EU 집행위원회의 제안이 비즈니스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기 때문에 반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펠릿협회는 “산림 보호를 아예 않겠다는 것이 아니다”라며 “지역별 요인과 최상의 관리방법을 택할 수 있도록 개정안의 문구 변경을 요청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 “특정 지역에서 공급을 전면으로 금지한다면 산불, 질병, 침입성 해충을 막기 위해 벌채가 필요한 지역에서 벌채도 막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MS, 국가 차원의 탄소제거 제도 도입 추진... 2022 탄소제거 경과보고서 분석
- MS가 투자한 바이오차(biochar) 기업들은 어디?
- 바이오 플라스틱 누구 말이 맞나? 전경련 vs. 그린피스
- 담배가 실험실 대체육의 희망이라고?
- 미국의 5대 탄소제거 계획 이니셔티브
- 스타트업이 개발한 '합성 팜오일'...환경 파괴 줄이고, 가격 낮춘다
- 섬유폐기물 100% 재생하는 시대 열리나
- 베트남도 탄소배출권 거래제 시행
- 그린워싱 논란 최대 바이오매스기업 '드랙스'...영국 정부, 그래도 지원금 준다?
- ‘숲 솎아베기’로 산불 예방과 이윤 창출하는 美제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