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의 ESG가 어떤 모습을 띨지 예측하는 분석들이 나오고 있다. 하버드 로스쿨 기업지배구조 포럼(HLS, Harvard Law School Forum on Corporate Governance)도 지난 31일(현지시각) ‘2023년 전략에 영향을 미칠 15가지 ESG 고려사항’이라는 제목의 분석을 내놨다.
HLS는 ESG 정보 공개를 가장 핵심으로 짚었다. HLS는 “ESG 규제 바퀴가 이미 가동되고 있으며, 놀라울 정도로 빠르게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경영진은 기업의 ESG 정보를 공개하는 객관적인 방법을 채택하여, 기존에 일화를 중심으로 한 주관적인 방식의 기술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HLS는 “규제가 한번 정착되면 방향을 바꾸거나 조치를 철회하는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2023년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팩트온>은 HLS가 제시한 15가지 고려사항의 핵심을 요약하여 전달한다.
1. 블랙록의 ‘대리투표 민주화’, 투자업계에 확산
관련기사
- 2023년부터 달라지는 것들
- 2022년 ESG 주요이슈는?
- CDP보고서, 트리플A 기업들 감소와 올해 공시흐름
- 2023년, 전기차의 해 될까...구매는 여전히 난항
- 【박란희의 TalkTalk】 2022, 임팩트온 Top 기사는?
- 이런 소재도? 2023년 주목할 지속가능한 소재 5가지
- EU, 탄소배출권 거래제 개편... 범위는 늘고 무상 할당·갯수는 줄인다
- EU, 가스 가격 상한선에 마침내 합의
- ISSB, 스코프3 보고 의무를 1년간 임시 면제키로
- EBA, 지속가능한 금융 로드맵 발표…EU감독기관의 ESG 금융 규제 시간표는?
- 지속가능 공시 표준 GRI-ESRS에 관한 Q&A
- 2023년 ESG 시장의 7가지 이슈
- EU, 그린워싱 방지 방법론 논쟁…기업은 기준 마련 촉구
- SFDR ‘제9조 펀드’ 자격 미달 5분의1이나 해당?
- 녹색 비즈니스의 현주소…어떤 산업에 기회있나
- SEC, 최종 발표 앞두고 기후 공시기준 완화하나?
- MSCI, SFDR 부합하는 ESG 펀드 여전히 적어…‘정보 공개 시기가 관건’
송준호 editor
js@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