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I가 광물업 표준에 관한 초안을 24일(현지시각) 공개하고, 표준에 대한 피드백을 30일까지 접수하고 있다.
GRI의 산업 섹터 표준은 해당 섹터의 영향에 대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보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이 표준은 GSSB(Glob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에 의해 임명된 여러 이해관계자 전문가 작업 그룹이 개발하고 있다.
지난 2021년 10월 GRI는 산업군 중 영향력이 큰 것부터 시작해 40개 부문에 대한 표준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석유 및 가스 부문이 2021년 10월에 가장 먼저 공개됐고 이어서 광업, 식품, 섬유 및 의류 산업, 금융, 자산운용사, 재생에너지, 임업 등 40개 부문이 개발 중이다.
석탄 산업의 경우, 지난해 3월 15일 지속가능성 표준을 출시했고 내년 1월부터 발효된다.
GRI는 광물업 표준공시 초안과 관련, "채굴의 (환경, 사회적) 영향을 잘 관리하면 광물업은 저소득 국가의 경제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며 "하지만 환경과 인권 문제로 인해 광물업의 운영 허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기에, 광물채굴 회사는 운영과 공급망 내에서 환경과 인문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며 진행상황을 투명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GRI의 광물업 표준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분야는 'ASM(Artisanal and small-scale mining, 장인 및 소규모 채굴)'이라고 불리는 그룹, '분쟁 영향을 받는 지역 및 고위험지역'에 관한 것이라고 GRI는 밝혔다. 이 두 주제는 이번 주에 열릴 'OECD 책임광물 공급망 포럼'에서 집중 조명될 예정이다.
#1. 장인(匠人) 및 소규모 채굴(이하 ASM)
ASM그룹이란 개발도상국이나 채굴지역에서 운영되는, 쉽게 말해 소규모 채굴집단이다. 그룹, 가족, 개인이 949개 협동조합을 운영하고 있으며, 기계화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이 비공식적으로 운영된다. 주로 개발도상국에 널리 퍼져있다.
GRI는 "ASM그룹은 비공식적인 기업집단이어서 GRI 표준공시를 사용할 집단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광물업 대기업들이 ASM그룹과 협력하기 때문에 공시 표준에서 다뤄진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발표된 광물업 공시 표준에는 ASM의 공식화를 위한 공동 노력, 기술 지원 제공, 수은의 사용과 같은 중대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역량 구축, 아동 노동 등이 포함될 수 있다고 GRI는 밝혔다.
책임 광산 연맹의 표준 및 보증 관리자인 나탈리아 우리베(Natalia Uribe)는 "ASM은 120개국 이상에서 약 5000만 명의 인구(그 중 4분의 1은 여성)를 대표하며 광물 공급망에서 가장 취약한 그룹의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투명성, 책임성 및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GRI의 광업 표준 초안에 ASM가 포함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라고 밝혔다.
#2. 분쟁의 영향을 받는 지역과 고위험 지역
GRI는 "광물 채굴은 종종 무력 충돌이나 정치적 불안정이 있는 지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권 침해 사례가 더 높다"며 "이런 고위험 지역에서 운영하거나 소싱하는 것은 강제 노동, 아동 노동 및 기타 인권 침해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회사는 공급망을 통한 인권 침해가 되지 않도록 추가적인 실사를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영역에서 광물채굴 기업이 부정적인 영향을 식별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국제 프레임워크가 있다. GRI 광업 표준 공시 초안은 이 지침을 준수한다.
RMI(Responsible Minerals Initiative)를 지원하는 Responsible Business Alliance의 선임 프로그램 매니저인 안나 슈탄처(Anna Stancher)는 “지난 몇 년간 광물 공급망은 녹색 에너지 전환과 중요한 원료 생산에 대한 역할로 각광을 받았다"며 "하지만 이제 정책 입안자, 규제 기관, 기업, 시민 사회 및 투자자들은 광물 채굴, 거래 및 가공의 사회적 및 환경적 영향에 점점 더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주제는 파리에서 열리는 OECD 책임 광물 공급망 포럼에서 이번 주 내내 추가로 검토될 예정이다.
GRI 광물업 부문 표준의 공시 초안은 2023년 4월 30일까지 공개 의견을 접수한다. 이해 관계자는 온라인 양식을 사용하거나 mining@globalreporting.org에 서면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 GRI, 지속가능성 실사와 GRI 보고 체계 어떻게 적용하나
- GRI 13 발표…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식량자원 생산
- GRI 생물다양성 공시기준 개정안 작업, 2022년 3분기에 공개초안 마무리
- GRI, 석탄에 대한 표준 발표
- GRI, EFRAG(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 생물다양성 표준 함께 만든다
- GRI, “지속가능성 위험 관리...최고 리스크 관리 책임자(CRO) 임명 필요해”
- GRI 표준 개정안 출시...보편 표준과 부문별 표준 개발
- 【단독인터뷰】 GRI 엘코 대표, "글로벌 공시 기준 흐름, 데이터와 비즈니스 혁신"
- 호주, 금융감독기관에 기후 공시 표준 채택 요구
- 지속가능보고서 20년 낸 기업도 기후공시 어려워…EU와 ISSB, GRI는 상호운영성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