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번째 생물다양성 보고서 표지
다섯번째 생물다양성 보고서 표지

지난 5월 22일은 국제 생물다양성의 날이었다. 지난해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COP26 기후회의에서 재확인한 생물다양성 손실을 되돌리기 위한 2030년 시한이 이제 8년도 채 남지 않았다. 지속가능미디어 3BL미디어는 23일(현지시각) GRI를 비롯한 글로벌 이니셔티브들의 생물다양성 시간표에 대해 다뤘다. 

생물다양성 프로젝트의 시간표/GRI 홈페이지
생물다양성 프로젝트의 시간표/GRI 홈페이지

생물다양성의 시간표는 지구촌이 지구에 대한 의무를 망치고 있다는 것을 아주 극명하게 설명한 UN의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국제적으로 설정된 20개의 생물다양성 목표 중에서 2020년까지 부분적으로나마 충족된 것은 6개에 불과하다.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완성을 위한 기한은 2030년까지다. 이러한 글로벌 목표, 즉, SDG 14(물 속에서 사는 생명)와 SDG 15(육지 위의 생명)에서 생물다양성의 감소는 자연 환경뿐만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과 지역사회에 처참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UN생물다양성협약은 올해 모든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약속과 목표를 규정한 '2020년 이후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를 채택할 예정이다.

재보험회사인 스위스 리(Swiss Re)의 최근 연구는 세계 GDP의 55%가 높은 기능 생물다양성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것이 기업과 정부가 협력해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한 바 있다. ☞보고서 링크는 여기 

이 보고서에 의하면, 총 39개국은 국토 면적의 최소 3분의 1을 차지하는 취약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는 반면, 유럽과 동남아시아, 미국 등의 주요 경제는 특히 생물다양성 감소의 위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개정 준비중인 GRI 생물다양성 영향 표준

기업 조직에게 생물다양성의 영향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은 생물다양성 손실과 기후 변화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필요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성 보고에 대한 KPMG 조사 결과, 생물다양성 손실로 인해 위험에 처한 대기업의 4분의 1 미만이 생물다양성에 대해 공시하고 있다. 

GRI 홈페이지
GRI 홈페이지
 

GRI의 글로벌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GSSB)는 생물다양성 보고에 대한 글로벌 모범 사례를 반영하는 최신 표준을 제공하기 위해 'GRI 304: 생물다양성 2016'에 대한 검토를 시작했다.

GRI 생물다양성 표준은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속가능성 보고 표준인 GRI 표준으로 보고하는 1만개 이상의 기업 중 적어도 2000개 기관이 이미 매년 사용하고 있다. 표준의 개정은 18명으로 구성된 기술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복수 이해당사자가 참여해서 진행중이다.

제안된 개정안은 기업이 생물다양성 손실의 주요 동인(기후 변화, 침습적 종, 토지 및 해양 사용 변화, 과다 증식 및 오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포함하여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기업의 영향을 더 잘 보고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오는 3분기까지 개정안에 대한 공개초안 작업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문제는 협업

생물다양성에 대한 접근방식의 핵심은 갱신된 생물다양성 표준이 보다 효과적이고 포괄적이며 비교 가능한 보고를 통해 기존의 표준이나 프레임워크들과 잘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TNFD(자연자본 금융공시 태스크포스), 세계 벤치마킹 얼라이언스(WBA), 얼라이닝 프로젝트(자연에 대한 회계 접근 방식 조정), 과학기반타깃네트워크(SBTN) 등이 포함된다. 

GRI가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과 공동으로 작업하는 것은 각각의 새로운 생물다양성 표준에 대한 기술적 작업에 대한 협업을 포함한다. EFRAG는 약 5만 개의 기업에 의무화될 새로운 EU 지속가능성 보고 표준(CSRD) 작업을 실제적으로 하는 그룹이다 보니, 이러한 협업은 EU기업의 보고 표준과의 조화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밖에 없다. 

CDP는 생물다양성 표준의 업데이트 프로세스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TNFD는 개정된 GRI 표준이 조직이 자연 관련 위험을 보고하고 행동할 수 있는 위험 관리 및 공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 위한 업무에 투입될 것이다. 물론 이러한 표준들이 얼마나 잘 협업을 통해 조화를 이룰지는 미지수다. 

올해 말 GRI 생물다양성 표준 초안에 대한 글로벌 피드백과 견해를 수렴하기 위한 공개적으로 의견 수렴 기회가 주어진다. 수정된 GRI 304의 출시 시점은 2023년 중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UN #GRI #EFRAG #WBA #3BL #CDP #TNFD #GSS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