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업계는 기후 목표를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진행이 더딘 분야 중 하나다. 금융기관의 기후 영향은 일반적으로 자금 조달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데 화석연료 기업에게 대출을 해주거나 개발도상국의 화석연료 프로젝트의 자금을 지원하는 등 현재도 상당한 수준의 재정이 화석 연료 관련 사업에 투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4월, 씨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 은행을 비롯해 일본 3대 은행은 주주총회에서 새로운 화석연료 자금 조달을 중단해달라는 주주 결의안을 거부한 바 있다.
그런데 최근 TPI의 조사 결과 금융업계에 변화가 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I, 글로벌 은행 26곳의 기후 목표를 분석
전환 경로 이니셔티브(The Transition Pathway Initiative, TPI)의 글로벌 기후전환센터(Global Climate Transition Centre)는 최근 발표된 넷제로 은행 평가 프레임워크에 따라 글로벌 은행 26곳을 평가했다. 평가대상이 된 은행은 뱅크오브아메리카, 바클레이스, BNP 파리바, 시티그룹, 골드만삭스, HSBC, JP모건,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 그룹 등이다. 이 프레임워크는 은행의 넷제로 약속 및 목표부터 공시, 기후 위험 거버넌스 및 기후 솔루션 자금 조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지표를 고려한다.
TPI는 런던 경제정치과학대학원(LSE) 산하 그래덤 기후변화·환경연구소(Grantham Research Institute) 내에 설립된 연구기관이다. 2017년부터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관한 기업의 준비 상황을 평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연구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TPI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은행들이 자금 조달 활동 등 기후 영향을 줄이기 위한 목표를 점점 더 세우고 있으며, 약 5%의 은행들이 모든 자금 조달 활동을 포괄하는 넷제로 약속을 내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77%의 은행이 넷제로 목표 세워
보고서는 26개 은행 중 77%에 해당하는 20개 은행이 2050년까지 넷제로 금융 배출량에 대한 약속을 내놓았다고 밝혔다. 반면, 해당 은행의 절반만이 대출, 자본 시장 활동, 투자 은행 활동, 자산 관리 및 자문 활동을 포함한 대차대조표 활동을 공개했으며 모든 대차대조표 활동을 공개한 은행은 한 곳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은행의 85%는 적어도 일부 부문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전 2022년 연구의 33%에 비해 증가한 것이라고 TPI는 전했다.
석유 및 가스 부문 35%, 전기 유틸리티 부문의 45%가 지구 온도 상승을 1.5°C로 제한하는 목표와 일치하는 내용을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느 은행도 식품, 광업, 제지, 화학 등 탄소 고배출 부문에 대한 목표치를 설정하지 않았다고 TPI는 지적했다.
은행의 부문별 목표 설정은 아직 전략에 폭넓게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은행 중 6개 은행만이 고객에게 자금을 투자한 분야에 배출 감축 목표에 전환 계획을 수립하도록 요구하는 등 자금 조달 조건을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69%의 은행이 적어도 한 부문에 대한 자금 조달 배출량을 공시하고 있지만 모든 고배출 부문에 대한 자금 조달 배출량을 공개한 은행은 3곳에 불과했다고 연구진은 말했다.
또한 은행 중 17개 은행이 기후위험을 주요 위험 범주로 공시에 포함시킨 반면, 물리적 기후위험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 결과를 공개한 은행은 8곳, 전환 위험에 대한 시나리오를 분석한 은행은 6곳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의 지속가능한 자금 조달 목표...세우긴 했지만 실행 여부는 불분명
은행들의 지속가능한 자금 조달 활동을 조사한 결과, 은행의 약 70%가 기후 해결책을 향한 자금 조달을 늘리기 위한 목표를 설정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대한 세부 사항은 불분명하며, 단지 5개의 은행만이 외부 기준에 기초한 ‘기후 해결책’의 정의를 공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TPI는 "작년에 비해 은행의 기후 관련 조치가 전반적으로 개선되었다. 특히 더 많은 은행들이 배출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해당 목표의 부문별 적용 범위를 확대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진전은 고무적이지만, 은행의 모든 활동 전반에 기후를 의사 결정에 포함시키기 위해 해야 할 중요한 작업이 남아있다"라고 지적했다.
- 바클레이스, 자연자본 고려 안 하는 채권은 위험하다 경고
- 석탄업계의 보험료 부담 증가...45개 보험사, 보장범위 축소와 제한
- 미국 자산운용사, 기후 목표에서 멀어져… 정치적 ESG 공격에 위축됐나
- 글로벌 금융업계, ESG 주춤… PCAF, 탄소회계 기준 완화, 이사회 성별 다양성도 감소해
- 기관투자자들, 정쟁에도 불구… “ESG 여전히 중요하다”
- EU의 30대 은행, 원자력을 녹색ㆍ지속가능채권에 포함시킨 곳 없어
- 넷제로보험연합(NZIA), 회원사 이탈 막으려...온실가스 감축 목표 공개 의무 폐지
- 미국 퇴직연금, ESG투자 비중 5%미만...기후위기 악화에 기여할 수 있어
- 대형 자산운용사 LGIM, 기후 기준 분석 기업 폭증
- 기후 이슈로 중도하차...세계은행 신임총재, 개발과 기후 두 마리 토끼 잡을까?
- 넷제로자산소유자연합(NZAOA), 포트폴리오 관리로 온실가스 감축 성공
- 미국 통화감독청, 24개 은행 대상 첫 번째 기후위험평가 완료
- HSBC, 은행권 최초로 넷제로 전환 계획 발표...SBTi 기반 주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