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현지 시간),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Gavin Newsom)은 기업의 기후변화대응 정보공개를 의무화하는 ‘SB253’법안과 ‘SB261’법안 통과에 서명했다.
SB 253법안은 캘리포니아에 소재한 연 매출 10억달러(1조 3400억원) 이상 기업에 스코프 3배출(Scope 3·공급망 간접배출)을 포함한 온실가스배출 정보공개를 요구하며, SB 261법안은 연 매출 5억달러(6700억원) 이상 기업에 기후변화로 인한 재무리스크 공개와 대응계획 수립을 요구한다. 美증권거래위원회 (SEC)의 기후공시법 초안과 달리, 캘리포니아의 법안은 비상장기업 또한 적용대상에 포함한다.
SB251법안의 발효시점은 2025년이며, 기업들은 2026년까지 스코프 1-2, 2027년까지 스코프 3 배출정보를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한다. SB261의 경우, 기업들은 2년 주기로 기후변화로 인한 재무리스크 정보를 공개해야 하며, 2026년 1월 1일 전까지 첫 정보공개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만 개빈 뉴섬 주지사 법안의 발효시점이 유동적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캘리포니아의 기후공시 법안, ISSB 및 ESRS 기준과 크게 다르지 않아… 스코프 3 배출 정보와 합리적 검증이 핵심
관련기사
- 캘리포니아주, 스코프3 공시법안과 소송...기후 문제 해결에 앞장서
- 애플, 미 캘리포니아주 기후공시화의무법안 지지…MS, 이케아미국 등도 지지 표명해
- 전 세계 기업 75%, ESG 보증 준비 미흡... 비재무 데이터 수집에 어려움 토로
- 미 SEC, 그린워싱 단속 나선다... 펀드명과 투자정책 일치 '이름 규칙' 최종 의결
- ESG공시 의무화 연기 두고 시끌시끌…ESG 현장 목소리는?
- 지속가능보고서 20년 낸 기업도 기후공시 어려워…EU와 ISSB, GRI는 상호운영성 강조
- 다가오는 ESG 공시 의무화…한국 기업은 어떤 기준에 대응해야 하나
- TCFD 보고서, 기후공시 기업 급증.. '기후관련 위험과 기회' 항목이 가장 많아
- ESG공시 의무화 26년 이후로 연기…공시 지침 언급은 없어
- 반도체 산업, 탄소중립 어떻게 이루나…탄녹위 컨퍼런스 개최
- 애플 경영진, 탄소 감축 비용 소비자에게 전가안해
- 미 제5차 국가기후평가 발표…미국, 세계 평균보다 빠르게 온난화 진행
- 미 SEC, 기후공시에서 스코프3 제외할 듯
- TCFD 출범 후 8년…글로벌 기업들의 공시 현주소
- 캘리포니아 규제로 인해 美 양대 석유업체 수조원 손실... 민관 갈등 격화
- “주 정부, 기후공시 강제할 권한 없다”… 미 상공회의소, 캘리포니아주 고발
- 지평 ESG센터, ESRS 이행 가이던스 강독...데이터포인트만 1120개
- 미 SEC, 기후 공시에서 스코프 3 배출 공개 요구사항 일부 삭제
- SEC 기후공시 의무화법 드디어 통과…공화당 10개 주는 SEC에 즉각 소송 제기
- 캘리포니아주, 5대 정유사에 "그린워싱 법안 적용, 피해보상기금 받아낼 것"
- 美 주정부, 기후변화 규제 강화 나서...캘리포니아·뉴욕주 진두지휘
송선우 editor
dustin93@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