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현지시간) 지속가능성 연구소(SustainAbility Institute)는 '2024 리더스 설문조사(Leaders Survey)' 최신판을 발표했다.
미국 여론조사기관 글로브스캔과 세계 최대 규모의 지속가능성 컨설팅 기업 ERM이 함께 운영하는 지속가능성 연구소는 이와 같은 설문조사를 1994년부터 2년에 한 번씩 실시해왔다.
이 설문 조사는 지속 가능한 개발 어젠다를 형성하는 우선순위와 세력에 대한 전 세계 65개국의 지속 가능성 전문가 약 500명에게 질문을 던지고 의견을 얻는다. 이를 통해 정부, NGO 및 기업 전반의 지속 가능성 리더십을 탐구하고 우선순위 문제와 가장 중요한 최근 개발 사항을 추적하는 역할을 한다.
2024년판 설문조사는 2024년 4월부터 5월까지 65개국의 기업, 정부, NGO 및 학계를 대표하는 485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설문 조사에 참여한 96%의 전문가는 '기후 변화'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8명 이상의 전문가가 생물 다양성 손실, 삼림 벌채, 물 부족, 물 오염 및 식량 안보를 가장 시급한 문제로 지적했다.
이 5가지는 기후 변화와 가장 밀접하게 연결된 주제다. 식량 안보의 인식된 시급성은 지난 5년 동안 상당히 증가했으며, 기후 변화, 물 부족 및 기타 상호 연관된 지속 가능성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한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실제로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는 지난 4월 기후 때문에 식량 및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인플레이션이 올 것이라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세계자연기금은 지난 10월 물 위기가 연간 약 58조달러(약 7경원)에 달하는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2024 지속가능성 설문조사 속 주목할만한 결과는?
설문조사 결과 지난 12개월 동안 지속가능성 어젠다와 관련된 가장 의미 있고 긍정적인 발전으로는 33%가 법률 제정이라고 답했다. 20%는 지속가능성 공시라고 언급했다. SEC 기후 공개 규칙 및 EU 그린딜과 같은 지속가능성 관련 법률 및 규제가 확대된 것에 따른 대답으로 여겨진다. 또한 기후와 자연, 재생 에너지 및 저탄소 이니셔티브에 대해서도 각각 13%와 9%가 중요한 발전으로 간주했다.
이러한 긍정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중 절반 이상이 지속 가능성에 대한 상당한 반발이 있다고 보고했으며, 북미 지역에서는 10명 중 8명 이상이 이러한 추세를 보였다고 답했다.
전 세계적으로 전문가의 52%는 이러한 반발이 향후 몇 년 동안 지속가능성으로의 전환을 늦추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웨덴은 전문가들에 의해 지속 가능한 개발을 진전시키는 데 있어 선도적인 정부로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28%가 스웨덴을 지속가능한 개발을 진전시키는데 앞장서는 정부라고 답했으며 그 뒤를 독일(20%), 덴마크(20%), 노르웨이(17%)가 이었다.
사업 면에서는 응답자의 34%가 파타고니아(Patagonia)를 기업 지속 가능성 리더십이 높은 기업으로 꼽았다. 한편 전문가 그룹의 약 4분의 1인 24%는 유니레버(Unilever)를 선택했다. 그밖에 나투라앤코(Natura & Co), 이케아(IKEA)가 각각 10%대를 차지했다. 수년 동안 1위를 차지해오던 유니레버는 최근 몇 년 사이 파타고니아에게 1위를 빼앗긴 후, 지속가능성 리더십 측면에서 평가가 계속 하락하고 있다.
NGO 중에서는 응답자의 40%가 세계자연기금(WWF, World Wide Fund for Nature)을 지속가능한 개발을 진전시키는 선두주자로 꼽았다. 그린피스(Greenpeace), 자연보호협회(The Nature Conservancy), 세계자원연구소(WRI, World Resources Institute) 등도 전문가 10명 중 1명에게서 언급됐다.
지난 10년 동안 지속가능성 분야로 전환이 가장 크게 된 분야는 임산물(Forest Product)과 생명 과학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산물은 산림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생산물을 뜻한다. 반면 지난 10년 동안 등급이 가장 크게 개선된 분야로는 금융, 전기 유틸리티, 자동차 및 생명 과학 부문이 꼽혔다.
- 글로벌 에너지 전환 투자 유치 상위 12개 기업은? 한국 'SK온'도 포함돼
- 애플, 아마존, LG 등 물 리스크 데이터 공개 촉구 두 배 늘었다...CDP 보고서
- M&A 분야에서 점점 커져가는 ESG의 영항력…딜로이트 설문조사
- 아시아 자산운용사들, ESG 역량 뒤쳐져…글로벌 경쟁업체에 시장 뺏길 것
- ESG 새로운 이름, 유니레버가 먼저 썼다… ‘합리적 지속가능성’
- 미국 CEO들의 최우선 경영과제는? “ESG 이니셔티브 실현”… 2위는 생성형 AI 활용
- 떠오르는 물 리스크, 기업 대응 격차 커...CDP 보고서
- 딜로이트 보고서, 절반 이상의 기업이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해 CSO 늘려
- M&A 업계, ESG 실사 우수기업 프리미엄 낼 의향 있어…KPMG 보고서
- 데이터센터, 군대도 주목...대기 중 물 생산 MOF 기술 기업들
- 미국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 위치한 버지니아주, 3년 만에 물 소비량 40% 증가
- 이케아, 중고 거래 플랫폼 출시…고객 간 직거래 중고시장 공략
- 일 식음료기업 산토리, 세계 최초 물 리스크 평가를 위한 ‘물 안보 나침반’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