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무부 장관 더그 버검은 7일(현지시각) 루이지애나주의 천연가스 수출 터미널을 방문해 해상풍력 프로젝트들을 전면 재검토 중임을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검토 지시가 이행되고 있음을 재확인 한 발언이다.
더그 버검 장관은 미국의 에너지 주도권 강화를 목표로 백악관 산하에 신설한 국가 에너지 지배력 위원회의 위원장을 겸직하고 있다. 이 위원회는 여러 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허가 절차의 개선과 규제 문제를 검토하는 역할을 맡았다.
기존·신규 프로젝트 다른 기준 적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부터 연방 토지와 해역의 모든 풍력 프로젝트 허가를 일시 중지했으며, 신규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임대를 무기한 중단한 바 있다. 트럼프는 내무부에 기존 풍력 프로젝트에 대한 임대를 종료하거나 수정할 필요성과 법적 근거를 검토하도록 지시했다.
버검 장관은 "행정명령에 따라 모든 풍력 프로젝트를 검토 중이며, 기존 프로젝트는 새로 제안된 프로젝트와 다른 기준으로 평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버검 장관이 신규와 기존 프로젝트에 차등을 둬서 검토할 것을 시사한 가운데 “속단은 하지 않을 것이며, 현재 검토가 진행 중"이라며 유보적인 답변을 내놨다.
이번 검토는 바이든 행정부에서 승인된 11개 상업용 해상풍력 단지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세제 혜택 없이 생존 불가능… 경제성·환경 문제 지적
버검 장관은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해상풍력의 경제성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육상풍력의 3배 비용이 드는 점을 언급하며 "이런 프로젝트들은 세제 혜택 없이는 존립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장관은 "해상풍력은 신생 산업이 아니며, 이제는 자립할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버검 장관은 허가 중단에 대한 이유로 환경 문제도 언급했다. 그는 "고래가 죽고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가 떨어져 해안가로 밀려오는 문제에 대한 우려가 있으므로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일시 중단할 필요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이는 해당 지역사회 주민들의 의견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시민들의 목소리에 응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트럼프, ‘국가 에너지 지배력 위원회’ 신설…‘에너지 차르’ 구상 실현
- 미 뉴저지 주, 해상풍력 프로젝트 계약 철회…관련 기업들 일본으로 향할까?
- 트럼프, 해상풍력 임대 중단 선언…유럽 기업들 주가 줄줄이 하락
- ‘드릴, 베이비, 드릴’ 핵심, 美 내무부 장관 지명자…“에너지 생산 제한은 안보 위협”
- 美 스타트업, 경제성ㆍ내구성 갖춘 콘크리트 부유식 해상풍력 플랫폼 개발
- 기후기금 동결은 위헌…美환경단체, 트럼프 정부에 소송
- 미 내무부장관 "폐쇄 석탄발전소 재가동" 강조...SMR 발전은 상용화 어려운 상황
- ‘취임 50일’ 트럼프, 돌파구는 어디에?…삼일PwC 보고서
- 트럼프, 조선업 부활 행정명령 서명…中 견제도 병행
- 트럼프發 역풍에 해상풍력 물밑 작업…글로벌 자본, 美재생에너지 빅딜 행진
- 트럼프 행정부, ‘엠파이어 윈드’ 중단… 에퀴노르 20억달러 투자 '흔들'
- 미국, 덴마크, 노르웨이...세계 곳곳에서 재개되는 해상 풍력 프로젝트
- 트럼프, 미국 최대 해상풍력 사업 재가동... 배경엔 '정치적 거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