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온 배터리의 대체재로 주목받아 온 나트륨이온 배터리가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상용화 단계에 본격 돌입했다.
중국 스타트업 하이나 배터리 테크놀로지(HiNa Battery Technology)는 최근 나트륨이온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EV), 물류용 차량, 고정형 에너지 저장 장치(ESS) 등 다양한 응용 제품을 시장에 출시했다고 31일(현지시간) 클린테크니카가 발표했다.
미국 네이트론 에너지(Natron Energy)는 지난해 600메가와트(MW) 규모의 나트륨이온 배터리 공장을 가동한 데 이어, 기존보다 40배 이상 큰 배터리 생산시설을 건설한다고 공개했다.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츠(Research and Markets)는 2029년까지 나트륨이온 배터리 시장이 8억3850만 달러(약 1조2329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CATL, 하이나, 파라디온(Faradion), 티아매트(Tiamat), 네이트론 에너지(Natron Energy) 등 주요 업체들이 대량생산을 목표로 기술 개발과 투자를 가속화 하고 있다.
관련기사
- 부품 수 30%↓, 충전 속도 40%↑…포르쉐, AC 배터리로 전기차 효율 혁신
- 【ESG Deal】엔지, 아레스에 美 태양광·저장자산 900MW 지분 매각…총 투자 3.7GW로 확대
- 美 가정 정전·요금폭탄 피하려 ‘배터리 자급자족’…BESS 설치 64% 급증
- 美 관세 전쟁, 캐나다 전기차·청정 산업에 '반전 기회' 될까
- 영국 국영 에너지사 GB에너지, 첫 투자로 학교·병원 태양광 지원
- BYD, 1000V 전기차 플랫폼 ‘슈퍼 E’ 공개… 5분 충전에 400km 주행
- 전기차 배터리 수명 예상보다 길어…폐배터리 재활용업체 가동 차질
- CATL, 니오와 배터리 교환망 확장에 5000억원 투자…中 표준화 주도하나
- 베트남 전기차업체 빈패스트, 인도네시아에 10만 개 충전소 설치 계획
- 中 BYD·칭산, 칠레 리튬 프로젝트 전면 철회… 광물 부가가치 전략에 ‘제동’
- 리튬 없이도 가능…美, AI 데이터센터에 자체 배터리 실증
- 나트륨 배터리 본격 상용화…유니그리드, 가정용 저장장치부터 공급 확대
김환이 editor
hani@impacton.net
